
6·13 지방선거 교육감 선거에 출마하는 보수 성향의 예비주자들이 김광수 제주도의회 교육의원을 단일후보로 합의 추대했다. 이에 따라 이번 선거는 현직 이석문 교육감과 보수 후보와의 양자 대결 가능성이 커졌다.
지난 1월 23일 기자회견을 통해 후보 단일화 계획을 밝혔던 고재문 제주도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 고창근 전 제주도교육청 교육국장, 김광수 교육의원, 윤두호 전 교육의원은 6일 오후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광수 의원을 합의 추대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교육감 선거에서 후보자가 많아 유권자들이 선택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우리는 단일화 발표 회견 후 10여 차례 만나 여론조사의 허와 실, 각 후보의 정책, 선거에 임하는 자세 등을 격의 없이 토론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윤두호 전 의원은 “우리는 제4차 산업혁명 등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육혁신을 이끌 변혁적 후보 추대가 필요할 것으로 봤다”며 “양보한 도전자들은 추대된 후보가 선거에서 이길 수 있도록 적극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단일화 이후 새로운 도전자가 등록할 경우에 단일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이번 4인 연대의 성격을 묻는 질문에는 범 보수 쪽보다 ‘반(反) 이석문’ 연대에 가깝다는 답변을 내놨다.
고창근 전 교육국장은 ‘반 이석문 연대’라는 표현이 적절치 않다면서도 “이번 4인 연대의 출발점은 전교조 출신 이석문 교육감의 정책이 앞으로 더 나아가서는 안 된다는 공감에서 시작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아이들의 기초학력 문제나 인사 문제 등에서 특히 반감이 크다”고 부연했다.
단일화 후보로 추대된 김광수 교육의원은 “언젠가부터 교육청에 정치적인 냄새가 너무 난다고 생각해왔다”며 “제주 아이들은 정치 중립적 교육자의 입장에서 키워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선거에 임박해서 후보를 단일화하면 유권자들의 관심을 교육감 선거로 몰아 올 수는 있겠지만 그 기간 소모가 너무 크겠다는 판단이 들어 단일화 결정을 서두르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