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범 연구원 “지속가능 관광개발정책 수립”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과잉관광)으로 인한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선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제2공항반대범도민행동과 제주제2공항반대성산읍대책위원회, 제주참여환경연대는 5일 제주벤처마루 백록담홀에서 제주관광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제주관광정책과 오버투어리즘 문제’를 주제발표에 나선 이상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제주지역 오버투어리즘 문제는 섬 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갖고 있다고 지적하며 개발에 따른 환경부하를 흡수하거나 완충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제주의 관광개발 정책은 환경용량을 고려하지 않은 채 투지유치에 중점을 둔 과도한 관광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특히 관광개발과 연관이 없는 주택개발이나, 대지조성 사업 대부분은 지역민이 아닌 외부인을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한 환경부하는 제주도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속가능한 제주도 관광개발을 위해 이 선임연구위원은 “지역민이 참여하고, 상생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소규모, 체험형, 스로라이프를 지향하는 관광개발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통해 제주 고유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오버투어리즘으로 나타나는 관광객과 지역주민간의 갈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제2공항 건설로 인한 인구 및 관광객 규모 증가 등 제주 전역에 미칠 수 있는 외부효과를 함께 돌아봐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날 김성훈 홍익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연구원은 ‘제주 관광정책과 환경·사회적 수용력’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원은 “현 도시기본계획의 계획인구는 75만명, 체류인구 25만명(2025년 기준)으로 제2공항 예비타당성조사의 수요량에는 미치지 못한다”면서 “제2공항 건설로 인한 인구증가는 하수처리장 포화상태와 같은 준비되지 못한 성장의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제주도는 관광산업 육성방향을 새로 모색하고, 성장에 따른 부담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시급히 갖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