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4·3 70주년을 맞이하는 해다. 그래서 ‘이미’ 지난해 3월 제주4·3희생자유족회, 제주 4·3도민연대 등 60여개 민간단체들이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를 결성했다. 4월에는 도내 64개와 전국 80개 등 144개 단체가 참여한 가운데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도 출범시켰다.
4·3 70주년 행사를 제대로 치르기 위함이다. 매년 4·3추념행사가 중요하긴 하지만 이번 70주년은 4·3을 직접 겪은 피해자·유족들의 ‘마지막 10년 단위 행사’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원희룡 지사가 지난 2일 4·3희생자 추념식 준비계획 보고회에서 강조한 “생존 희생자들의 한을 풀어드릴 수 있는 마지막 기회로 생각하자”는 말에 동의한다.
이날 보고회는 4·3의 아픔을 화해와 상생의 가치로 승화하고, 전 국민과 세계인이 함께 공감하는 70주년 행사를 위한 분야별 역할들을 논의한 자리였다.보고회에선 예년보다 많은 유족 및 참배객들이 찾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4·3평화공원 교통·주차·편의시설·안전 관리 대책 등이 집중 논의됐다. 제주도는 제기된 의견들을 추념식에 적극 반영, 성공적인 행사 개최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의미 있는 4·3 70주년을 도내·외 기관·단체들이 유족회와 함께 준비하는 모습이다. 성공적인 행사는 4·3이 지향하는 화해와 상생에도 기여할 것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추념식뿐만 아니라 ‘4·3의 완전한 해결’에도 머리를 맞대고 힘을 모아야 한다는 점이다. 70주년을 맞이한 현재도 4·3희생자 배상 및 보상 문제 등은 물론 유해와 유적지 정비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제주4·3특별법’이 국회를 통과(1999년)한 지 19년, 대한민국 국가 원수가 제주도민들에게 직접 사과(2003년 노무현 대통령)한 지도 15년이지만 이 상황이다.
70주년을 기점으로 4·3의 진정하고 완전한 해결이 이뤄져 향후엔 관련 ‘민원’이 일체 발생하는 일이 없기를 기원한다. 4·3의 완전한 해결은 과거의 아픔을 해원과 용서로 정리하고 ‘화해와 상생으로’ 함께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조건임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