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교사들이 보는 제주4·3은 “학살”
제주교사들이 보는 제주4·3은 “학살”
  • 김진규 기자
  • 승인 2018.0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중등교사 설문결과 56.3% ‘학살 이상’ 응답
유족회·70주년 사업회 발표
정명 작업화 방향성 등 관심

제주도내 초·중등 교사들이 제주 4·3에 대한 성격에 ‘집단학살’과 ‘4·3 학살’이라고 답한 비율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면서, 제주 4·3에 대한 정명 작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모아진다.

4·3 희생자유족회와 제주 4·3 70주년 기념사업회는 2017년 11월 20일부터 11월 28일까지 도내 초·중등교사 609명을 대상으로 학교 현장에서 이뤄지고 있는 4·3 교육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도내 교사들은 제주 4·3의 성격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4·3 제노사이드(집단 학살)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0.8%, 4·3 학살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25.5%로 조사됐다. 기존과 같은 4·3 사건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5%, 4·3 항쟁 18%, 4·3 봉기는 1% 순이다.

제주 4·3에 대해 대통령의 사과가 있었고 국가 추념일로 격상됐지만, 4·3의 성격을 규명할 올바른 이름은 여전히 불확실한 실정이다. 정명 문제는 단순히 이름을 짓는 것이 아니라, 명확히 규명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논의와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현재는 사건이라는 이름으로, 무고한 양민을 학살한 사건으로 치부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4·3의 완전한 해결을 바라는 시각으로 정명 문제를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부 보수 성향의 인사들은 “4·3은 공산주의 폭동”이라고 규정하며, 이념 논쟁에 다시 불을 붙이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5·18민주항쟁도 민주항쟁이라고 명명되기 전까지 여러 논란이 있었다. 4·3 사건은 피해 규모도 상당히 크고, 오랫동안 논의돼 왔다. 겹겹의 세월이 흘러 70주년을 맞은 올해 이같은 해묵은 논쟁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