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재건축 붐’ 주민 갈등 촉발 우려
‘건물 재건축 붐’ 주민 갈등 촉발 우려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8.01.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내 건축물 대상 총 2354동…시장엔 활기
곳곳서 주민설명회 개최 등 재건축 움직임
“이익 돌아와”vs“부채만 늘어” 엇갈린 주장

도내 재건축대상 노후 건축물이 2354세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재건축 붐을 타고 소형 아파트까지 재건축에 참여할 뜻을 내비치면서 주민 갈등의 불씨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3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내 재건축이 가능한 20년 이상 된 노후 건축물(2016년말 기준)은 모두 2354동(3만3455세대)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제주시가 1916동(2만6813세대), 서귀포시가 438동(6642세대)이다.

유형별로는 다세대 주택이 1447동(8747세대), 연립주택 365동(6053세대), 아파트 542동(1만8655세대) 등이다.

이에 따라 최근 도내 재건축 시장도 활기를 띄고 있다. 현재 제주(서귀포 제외)에서 추진 중인 재건축 아파트는 이미 착공된 도남주공연립(2016년 8월 착공)과 노형국민연립아파트(2017년 6월 착공) 등 2곳이다. 하지만 이도주공 1단지(조합설립추진위 구성)와 2·3단지(시공자 선정), 고려, 대지연립(사업시행인가), 제원아파트(정비계획 주민제안), 탐라·삼덕빌라(안전진단 결정) 등 6곳도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 에도 제주시내 아파트 2~3곳도 최근 주민설명회 등을 개최해 재건축 사업 추진을 진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재건축 추진 과정에서 주민간 갈등 조짐이 일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재건축에 찬성하는 주민들은 “노후한 아파트에 계속 살게 된다면 유지 관리비만 늘어나고, 결국 언제든 재건축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적절한 시기에 재건축을 하게 된다면 아파트 시세도 오르는 등 주민들에게 이익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재건축을 반대하는 주민은 “대출 받고 집을 장만한 대다수 주민들은 부채만 늘어나게 되는 것”이라며 “일부 찬성 주민들은 재건축 이후 아파트 시세가 오른다는 말로 주민들을 현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모호한 권리가액(주민보상가격) 및 분담금 등 재건축의 속내를 명확히 확인 한 후 재건축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전했다.

업계 전문가는 “재건축 사업 자체가 주민들 스스로 하는 사업(법적시행자 및 토지 등 소유자)인데 법과 현실이 다르다는 사실을 깨닫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자신의 재산(아파트)을 내주고도 분양금액(신청한 아파트가액)도 모르고, 분담금, 세금 등 적잖은 예산이 추가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