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없는 평교사 교장임용 확대 전망
자격증 없는 평교사 교장임용 확대 전망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7.12.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부, 교장공모제 개선방안 발표 공정성 강화 기대
응모 학교 비율 완화·개념 단순화 등…내년 9월 적용

승진 위주의 교직 문화를 개선하고 학교 현장의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교육정책의 변화가 가팔라지고 있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상곤)는 26일 초·중등 학교자치 강화 및 단위학교의 자율적 운영을 지원하고 교장공모제의 투명성 및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교장공모제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교장자격증 미소지자가 응모할 수 있는 학교 비율 제한 폐지된다.

그동안 교육공무원임용령은 자율학교 및 자율형 공립고에서 실시되는 내부형 공모학교 중 교장자격증 미소지자가 지원 가능한 학교를 신청 학교의 15%로 제한(7개교 신청 시 1개교 가능)하면서 교장공모제가 교장자격증 소지자 위주로 운영돼 왔다. 

이에 교육부는 교육공무원임용령 개정을 통해 15% 제한 규정을 폐지, 자율학교 및 자율형 공립고가 교장자격증 미소지자가 참여 가능한 교장공모제를 운영하려고 할 경우 이를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교장공모제 유형 구분이 복잡하다는 현장 의견을 반영해 교장공모제 유형별 개념을 △교장자격증 소지자만을 대상으로 교장공모를 실시할 경우 ‘초빙형’으로 △교육경력 15년 이상인 교원이 공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경우 ‘내부형’으로 단순화한다.

아울러 교육공무원임용령 개정을 통해 학교공모교장심사위원회 위원 구성 비율 및 방법을 법령에 명시해 공모교장 심사에 학교 구성원의 의견이 고르게 반영되도록 하는 하고, 심사위원의 책무성을 제고하기 위해 심사 절차가 끝난 후 학교심사위원회 및 교육청심사위원회의 위원 명단을 공개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이번 개선 방안을 담은 교육공무원임용령 개정안에 대해 40일간 입법예고를 통해 의견 수렴을 하고, 개정안이 확정된 이후에는 2018년 9월 1일자 공모교장 임용부터 적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