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관 교육국장 어제 도의회 임시회 답변
제주도교육청이 내년 70주년 제주 4·3희생자추념일이 지방공휴일 지정될 경우, 도내 학생들에게 4·3 추념식 참석을 권장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순관 제주도교육청 교육국장은 20일 제주도의회 열린 임시회 제주도교육비특별회계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박규헌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이 “학생들이 제주 4·3의 역사를 잘 모르고 있다. 내년 70주년 4·3 추념식에는 많은 학생들이 참석해 4·3의 취지를 알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에 “적극 공감한다”며 이같이 답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4·3특별위원회가 지난 11월 27일 ‘제주 4·3에 대한 인식 및 해결과제에 대한 도민여론조사’를 발표한 결과 33.7%만이 제주 4·3을 알고 있다고 응답하고, 위령제 등 4·3 관련 행사에 참여한 경험도 23.6%에 그쳐 제주 4·3 관련 행사에 도민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김 국장은 “도의회 4·3 특위가 4·3에 대한 도민 인식을 조사한 결과 상당히 낮게 나왔다. 전국적으로도 ‘광주 민주화 운동’과 ‘노근리 양민학살사건’ 보다 4·3에 대한 인식이 낮다. 이에 제주도교육청은 내년 70주년 제주 4·3을 기점으로 해서 다큐멘터리 1부와 2부를 제작해 홍보할 계획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에 제주 지역 교사 500명, 평화재단에서 500명 등 매해 1000명씩 전국 교사들을 대상으로 연수시키면서 제주 4·3의 전국화에 기여하려 한다. 자라나는 학생들이 할아버지 할머니 세대에서 일어났던 사건을 알릴 수 있도록, 4·3 추념식 등 행사 참여 동려도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