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23일 전문가 의견수렴 집필진 전달 예정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교과서 집필시기마다 불거지는 4·3 왜곡·축소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작성중인 제주4·3집필기준의 윤곽이 나온다.
도교육청은 오는 23일 오전 10시 대회의실에서 검인정 역사교과서 제주4·3 집필기준 마련을 위한 공개 발표회를 연다.
이번 발표회에서는 도교육청이 추진하는 ‘검인정 역사 교과서 4·3집필기준개발연구용역’을 맡은 ‘2020 희망의 역사공동체’(KAIST 교수 고동환, 인문사회과학부 교수, 전 한국역사연구회장)가 용역 결과를 발표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한다.
앞서 도교육청은 4·3의 실체적 진실과 역사적 위상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역사교과서의 왜곡·축소 기술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 4·3진상조사보고서에 근거한 교과서의 4·3 서술 기준을 마련하는 용역을 진행해왔다.
발표회는 △제주4·3과 역사교과서 문제 △제주4·3의 성격과 진상규명, 명예회복의 문제 △역사과 교육과정 분석 △ 중등교과서 4·3관련 서술 분석 △역사과 교육과정 분석 △ 제주4·3 반영을 위한 집필기준안 및 중등 역사교과서 시안 발표 순으로 진행된다.
양조훈 제주도교육청 4·3평화교육위원회 위원장과 오영훈 남녕고등학교 역사교사가 지정토론자로 나선다.
이후 완성된 연구 결과는 도교육청을 통해 교육부와 교육과정개발위원 및 교과서 집필진에게 전달될 예정이다.
한편 역사과 교육과정 확정고시는 2018년 1월이다. 이에 따라 역사과 검정도서 개발계획이 수립되며, 신간본은 2020년 3월 1일에 적용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