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인력으로 투입됐던 환경미화원들이 약속된 고용 기간도 채우지 못하고 해임될 위기에 처한데 따른 질타가 제주도의회에서 쏟아졌다.
당초 이들이 채용될 때 최소 1년 6개월에서 2년 간 근무를 약속받았지만,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계약 해지 통보를 받았기 때문이다.
제주시는 내년도 대체인력 환경미화원 218명을 공개 채용한다고 공고한 상태다. 계약기간은 6개월이다. 이로 인해 기존에 있던 환경미화원 중 57명이 12월말부로 재계약이 해지될 위기에 몰렸다.
제주도의원들은 오히려 이들을 정규직 전환 대상자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주도가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발맞춰 공공부문 기간제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키로 한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대체인력을 정규직으로 전환 할 경우 정규직 채용 시험 등 공개 경쟁에서 문제가 불거질 소지가 있어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박원철 제주도의원(더불어민주당, 한림읍)은 18일 속개된 임시회에서 제주도가 제출한 추경예산 심사에서 “정부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에도 맞는데도 정규직 전환에서 제외시켰다”고 몰아붙였다.
강경식 의원(무소속, 이도2동 갑)은 “6개월에서 18개월까지 근무했으면 대체 인력이 아닌, 상시 필요한 인원으로 봐야 한다. 정규직 심의 대상자들이다. 고경실 시장이 역점으로 추진하고 있는 쓰레기 정책에 반드시 필요한 분들이다. 오히려 이분들을 구제해야 하는데 여러 핑계를 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중환 제주도 기획조정실장은 “이 문제는 제주시를 비롯해 관련부서와 의논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