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분뇨배출 하류지’인 한림·한경…남부 1곳
도내 지하수 관정 7곳에서 질산성질소 농도가 먹는물 기준치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 관정 대부분은 제주 서부지역에 집중돼 있었다.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원장 오상실)이 올해 3차례에 걸쳐 동서남북 권역별 농업용 공공관정 총 128곳(1차는 108곳)의 지하수 수질을 조사한 결과 오염지표 항목 중 하나인 질산성질소 농도가 먹는 물 기준(10㎎/ℓ)을 초과한 관정은 1차(3월) 4곳, 2차(7월) 4곳, 3차(10월) 7곳이었다.
이들 관정은 대부분 제주시 서부 한림·한경에 있고, 남부(서귀포)에서도 1곳이 포함됐다.이 가운데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 관정은 질산성질소 농도가 19.2㎎/ℓ로, 농업용수 이용 기준(20㎎/ℓ)에 육박했다.
축산분뇨 불법배출 하류 지역인 이곳은 지난 1, 2차 조사에서도 질산성질소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해 연구원이 질소 동위원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축산분뇨에 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 질산성질소 평균 농도는 서부가 4.5㎎/ℓ로 가장 높았고 이어 동부 2.7㎎/ℓ, 남부 2.0㎎/ℓ, 북부 1.2㎎/ℓ 순으로 조사됐다.시기별로는 3차 3.3㎎/ℓ, 2차 3.1㎎/ℓ, 1차 2.9㎎/ℓ 순이었다.
3차 조사에서 질산성질소 농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10월 강수량이 7∼8월보다 많아 표층 오염물을 지하수로 운반하는 강우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휘발성 물질과 법정 농약 성분 등은 검출되지 않았고, 염소이온과 기타 중금속 항목 등은 모두 기준 이내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은 1차에 108곳이었고 2차부터는 세밀한 조사를 위해 관측정간 거리, 액비살포지, 축산농가 분포 등을 고려해 권역별 32곳씩 총 128곳으로 확대했다.
조사는 음·양이온 11개, 휘발성 7개, 농약 19개, 중금속 23개 등 총 60개 항목에 대해 매년 3회 수질 모니터링을 해 연도별·지역별 수질변화 추이를 관찰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