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교육감 12일 브리핑, 4·3내면화·전국화·세계화 계획 발표
전국교사 1만명 연수 등 2018년을 4·3교육 100년 원년으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교사와 학생을 중심으로 4·3교육을 확대, 2018년을 제주4·3평화교육 100년의 원년으로 삼는다고 밝혔다.
이석문 제주 교육감은 12일 교육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내년부터 전국 교사 1만 명을 대상으로 4·3직무연수를 개최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로드맵을 발표했다.
도교육청은 4·3 70주년을 앞두고 4·3과 관련한 교육계의 역할을 △내면화 △전국화 △세계화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했다.
우선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하는 4·3내면화를 위해 교원 직무연수를 확대한다. 신규, 1정 자격, 교감, 교장 자격연수 등 의무 연수시기에 4·3교육을 필수로 편성하는 한편, 교사 직무연수를 연4회 운영하고, 각종 협의회시 4·3평화공원을 적극 활용하도록 권장할 방침이다. 교사들이 원하면 손쉽게 4·3을 접할 수 있도록 사이버 직무연수도 활성화한다.
학교에서는 계기교육 외에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에 적어도 1시간 이상 4·3평화인권교육을 실시하도록 하고,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4·3교과통합 프로젝트를 운영한다. 이를 위한 혁신동아리도 운영, 지원할 방침이다.
4·3을 전국에 알리기 위한 교육적 접근방법으로 내년부터 매년 타 지역 교사 1000명을 제주로 초대해 4·3연수 기회를 제공한다. 교육청은 10년간 1만 명의 교사를 통해 전국 300만 명의 아이들이 4·3을 인지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4·3진상보고서를 기준으로 검인정 역사교과서 4·3 집필기준을 마련해 교육부를 통해 집필위원과 각 출판사 관계자들에 전달할 예정이다. 타 시·도 수학여행단 유치를 통한 4·3평화인권교육 확산도 더불어 추진한다.
아울러 도교육청은 4·3세계화를 위해 2018제주교육국제심포지엄의 주제를 4·3으로 정했다. 대만, 일본, 중국, 베트남 등 2차 대전 이후 제주와 비슷한 아픔을 겪은 나라들과 평화인권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제주4·3을 결합한 애니메이션과 4·3평화인권교육을 주제로 한 홍보 영상물 등도 제작해 배포할 방침이다.
이석문 제주 교육감은 “4·370주년을 기점으로 4·3은 교육과 문화로 기억되고 전해질 것”이라며 “평화인권교육으로 4·3 100년 기틀을 충실히 만들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