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용·허창옥 의원 “방역 위기…안일 대응 문제”
최근 제주특별자치도가 OIE(세계동물보건기구)의 소 결핵병 청정지역에서 제외되자 행정 당국의 초등 대응 미숙이 도마위에 올랐다.
올해 닭 등 가금류 AI 바이러스에 이어 돼지 열병, 소 결핵병까지 잇단 악재 터지면서 도내 축산방역이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다.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28일 제주도 농수산식품국 등을 대상으로 한 2018년 제주도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예산 및 기금 심사에서 이 문제를 집중 추궁했다.
이경용 의원(바른정당, 서홍·대륜동)은 행정의 초등 대응이 미숙함을 지적하면서, 철저한 방역을 주문했다.
이 의원은 “매년 3마리 정도 발병하던 것이 올 들어서 47마리나 발병했다. 이로 인해 OIE ‘소 결핵병 청정지역’ 지위도 잃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소 결핵병은 사람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 전염병이다. 제주에 바람이 많아서 그런지, 돼지(열병)며 닭?오리(AI), 이번에 소(결핵병)까지 바람 잘 날이 없다”며 철저한 방역을 주문했다.
허창옥 의원(무소속, 대정)은 “이는 제주도 축산방역의 심각한 위기다. 축산업 발전을 위해 하겠다는 축산방역기구가 필요한지에 대해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고 질타했다.
허 의원은 “지난 7월22일 조직개편 되면서 동물방역과가 새롭게 생겼음에도, 소 결핵병이 발생했다. 방역의 중요성을 안일하게 대응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해에도 3마리밖에 없었으니까 올해에도 3마리 정도로 끝날 것이라는 안일한 생각이 화를 불렀다. 제주의 청정유지라는 것에 아무런 대책을 마련하지 못했다”며 “고작 한 것은 육지산 돼지고기 반입이 대책이다. 청정 유지를 더 이상 안 하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이우철 제주도 농수산식품국장은 “소극적으로 대처했다는 지적에 공감한다. 예산을 더 투입해서라도 (소 결핵병과 관련해) 전수조사 및 검사를 하겠다”고 답했다.
허 의원은 “소 결핵병이 6월부터 발병했으면 제대로 대처했어야 했다. 행정당국은 문제가 나면 농가의 잘못으로 인식하고 있다. 축산농가 없으면 축산 공무원이 있을 필요가 없다. 인식 변화가 없으면 청정 지역을 유지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