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두 친구의 한시 습작 모음집
제주교육박물관(관장 김보은)이 올해 두 번째 향토교육자료집으로 ‘양우상화두운집(兩友相和杜韻集)’을 최근 발간했다.
제주교육박물관 소장 자료로 현재 박물관 상설전시실(제1전시실)에 전시되어 있는 ‘양우상화두운집’은 일제강점기(1930년대) 현재 서귀포시 서홍동에 살던 설계(雪溪) 오기권과 서계(西溪) 이재하가 같은 제목을 두고 동일한 운(韻)을 사용해 주고받았던 칠언율시(七言律詩) 습작 모음 집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운자(韻字)는 임의로 정한 것이 아니라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율시에서 빌려 왔다. 습작이었기 때문에 스승(화산 김홍익)에 평가를 받은 흔적도 볼 수 있는데, 책 곳곳에 점이 많으면 점수를 많이 받았다는 표시다. 일제강점기 한시를 짓는 교육과정을 이해하는 자료로 평가된다.
‘양우상화두운집’에는 이외에도 일제 치하에서 조선 교육의 전통이 사라져 가는 것에 대한 애석함과 그것을 지켜 나가려는 노력이 담겨 있다.
발간에는 오문복 선생(한학자, 제주동양문화연구소장)이 국역을 맡았다.
책 내용은 사이버제주교육박물관 홈페이지(http://cyber.jjemuseum.go.kr) 발간자료실에 E-BOOk으로 탑재돼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