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검사 인프라는 ‘전무’…육지로 가야할 판국
전국의 전기자동차 중 40%를 운행 중인 제주에서 안전 정비센터가 턱없이 부족해 정기검사를 받으려면 육지로 차량을 이송해야 할 상황에 처했다.
‘2030카본프리아일랜드 환경수도’를 지향하고 있는 제주도는 현재 8521대(국토교통부 10월 통계 기준)의 전기차량이 운행 중이다.
전국의 전기차 등록대수가 2만여대임을 감안하면 40%가 넘는 차량이 제주에서 운행 중이다. 올해 제주에만 5106대의 전기차량이 보급됐다.
내년부터 제주에서 1000대 이상의 전기차가 정기적인 의무검사가 필요로 하고 있지만, 안전검사 지원센터 건립은 요원하다.
제주도는 2016년도에 이어 2017년도에도 전기자동차 검사연구센터 구축비를 요청했지만, 정부는 김천의 첨단자동차 검사연구센터와 기능적 중첩성, 차량 정비분야 국비지원 타당성, 제주지원에 대한 타 지역과의 형평성 등을 이유로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도는 “2030년까지 제주의 모든 차량(37만대)을 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으로 ‘전기자동차 안전지원센터‘ 건립을 위해 2018년도에 미반영된 국비 53억원을 추가로 지원해 달라“고 건의했지만, 국비 반영은 불투명하다.
강창일 의원(제주시 갑)은 이달 9일 국회 예산결산특별회의에서 “전기차 보급만 잘되면 뭐하느냐. 차량을 고쳐야 하는데 대안이 없다”고 질의하자 손병석 국토교통부 제1차관은 “교통안전공단 제주검사소에서 검사 용량을 확충하고 인력을 증원하면 전기차 검사 시행에 문제가 없다”고 답했다.
하지만 전기차는 일반차량과 달리 고압 배터리가 사용되면서 전문적인 검사가 요구되고 있다. 센터 건립을 통해 전기차 성능 및 안정성 검사, 안전교육 등 안전지원체계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도 관계자는 “검사 기준을 국토부에서 마련하고 있지만, 장비도 부족하고 개발된 것도 없다 보니, 육안으로만 검사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기차가 급증하고 있어 안전에 대한 서비스를 제주도와 국토부가 적극나서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