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절반 “제주4·3에 관심 없다”
국민 절반 “제주4·3에 관심 없다”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7.11.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식조사 결과 응답자 ‘50.2%’…발생시기도 잘 몰라
명칭 질문에 ‘학살’·‘항쟁’ 각각 20%…정명작업 시급

우리국민 상당수가 제주4·3 사건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었지만 희생자규모나 특별법 제정, 국가추념일 지정 등과 같은 구체적인 사실은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제주4·3평화재단이 코리아리서치센터에 의뢰해 실시한 ‘전 국민 4·3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68.1%가 4·3을 알고 있다고 했지만 응답자 중 절반(50.2%)는 ‘관심 없다’고 답했다.

4·3 인지자를 대상으로 4·3 발생 시기(1948년)를 물은 결과, 한국전쟁(1950년 발발) 이후라고 잘못 알고 있는 국민은 49%였고, 모르겠다는 응답이 22.7%로 나타나 국민 대다수(71.7%)가 제대로 구체적인 사실조차 알지 못하고 있었다. 한국전쟁 전 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8.3%에 그쳤다.

4·3의 성격에 대해서는 전국과 제주 모두 '양민 학살'(전국 38.5%, 제주 69.9%)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희생자 규모를 묻는 질문에 국민들은 44.2%가 ‘1000~1만명’, 35%가 ‘1만∼3만명’이라고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다.

4·3 희생자 추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것 역시 국민 절반인 50.5%(제주 71.4%) 정도만 알고 있었고,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의 제정·공포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국민은 63.3%(제주 73.1%)에 불과했다.

정부의 4·3 진상조사보고서를 발간 사실 역시 국민 53.6%(제주 75.5%) 만이 ‘알고 있다’고 했고,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4·3 희생자와 유족, 제주도민에 공식 사과한 사실 역시 52.1%(제주 76.3%)만 알고 있었다,

4·3의 적절한 명칭에 대해 묻는 질문에 국민들은 ‘4·3학살’ 20%, ‘4·3항쟁’ 19.7%, ‘4·3사건’ 10.3% 순으로 나왔고, 도민들은 ‘4·3사건’ 29.1%, ‘4·3항쟁’ 15.3%, ‘4·3학살’ 6.9% 등의 순으로 나타나 내년 70주년을 앞두고 제주4·3의 정명(正名) 작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9월4일부터 6일까지 전국 16개 시도 성인을 1208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로 실시됐으며, 제주도민은 도내 거주주민 506명을 대상으로 지난 9월 9일부터 10월 13일까지 가구 방문 대면면접조사로 진행됐다. 4·3평화재단은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10일 진행되는 4·3평화포럼(제1세션 ‘제주4·3과 세계화해의 지평’)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