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보수통합 지역정가 파장에 도민적 관심
원희룡 제주도지사(바른정당)가 재선 도전 의사를 명확히 밝히고, 문대림 청와대 제도개선비서관도 제주도지사 선거를 위해 내달 초 비서관직을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7개월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 분위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문대림 비서관의 경우 현재 공무원 신분이어서 당적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에서 공천 경쟁에 뛰어들 것이 확실시 되고 있는 만큼, 민주당 도당 내 경선 체재가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중앙 정치권에서는 바른정당과 자유한국당 등 이른바 보수 통합론이 고개를 들고 있어 향후 제주지역 정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모아진다.
야권에서는 내년 지방선거 성적표에 따라 존폐가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어 통합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제주 정가에서도 ‘보수가 분열될 경우 지방선거 승리는 장담하기 어렵다’고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원 지사는 “아직은 고려할 부분이 아니”라며 명확한 입장은 밝히지 않고 있다.
원 지사는 지난 3일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통해 “보수의 반성과 변화를 전제로 한 통합의 길로 가야 한다”며 원칙을 강조했지만, 긍정도 부정도 아닌 애매모한 답변이다.
주도적으로 관여할 입장이 아닐뿐더러 도민 여론과 공감대도 필요로 하는 만큼, 추이를 지켜보며 신중히 판단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대다수의 지역구 제주도의원들과 함께 바른정당으로 당적을 옮겼기 때문에 제주지역 도의원들과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도 밝혔다.
바른정당 제주도당 관계자는 “도내에서도 보수가 분열돼 선거를 치를 경우 어렵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자유한국당과 통합 논의는 상당한 진척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어 “다만, 제주지역은 중앙당과 시각차와 거리감이 있다. 원 지사의 발언도 그런 뉘앙스다. 당장의 통합 논의 보다는 중앙당의 추이를 지켜 볼 필요는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도의원 선거는 지역 내 인물 선거인 만큼, 도지사 선거와는 분리해 봐야 한다. 중앙에서 보는 시각과 다르게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