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질서 중국인 엄벌 등 ‘기선제압’ 주장도
제주특별자치도가 한중 관계 해빙 무드에 발맞춰 고부가가치 목적관광객 유치 확대를 통해 제주관광산업의 질적 성장을 추진하기로 했다. 도민사회 일각에선 이번 기회에 무단횡단 등 기초질서를 위반하는 중국인들에게 철퇴를 가할 수 있는 분위기도 함께 조성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제주도는 2일 ‘한중관계 회복에 따른 중국 대상 마케팅 대응계획’을 발표했다.계획에 따르면 제주도는 중국인 단체관광객 방한관광금지 해제 분위기에 따른 중국시장회복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되 양적 관광객 유치경쟁에 뛰어들지 않고 꾸준하게 질적 관광을 추진키로 했다.
지난 3월15일 중국 단체관광객 방한관광금지 이후 중국 의존도에서 탈피하기 위해 추진해온 시장다변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해 나가기로 한 것인데, 제주도는 일단 질적 관광으로 전환하기 위해 저가 단체관광 근절하고, 고부가가치 관광객 유치 태세를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세부 대응계획을 보면 오는 6일 도내 관광업계와의 대책회의를 열고 중국 저가관광 근절, 업계의 건전 경쟁, 고품격 관광 추진 등에 대한 세부적인 방안을 협의할 방침이다.
또 5일에는 중국 상하이에서 제주 개별관광객 유치 설명회를 개최한 데 이어 오는 17일에는 중국 쿤밍 박람회에 참가하는 등 중국 현지 시장 분위기를 점검하기로 했다.
제주도는 자전거, 도보, 낚시, 미식, 등산, 친자, 실버 등을 고부가가치 목적관광객(SIT) 유치를 위한 7대 테마로 선정해 관련 도내 동호회 및 협회와 협의를 한 뒤 관련 관광상품을 개발, 마케팅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이승찬 제주도 관광국장은 “이번 대응계획을 바탕으로 제주가 사드이전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제주가 안고 있던 관광문제점을 개선하는 계기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며 “중국 현지 여행업계, 언론 등 동향 모니터링을 지속 실시하면서 내부적으로 저가단체 관광 근절을 위한 송객수수료 개선 입법 등 체계적인 마케팅 대응계획 추진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민사회 일각에선 중국인 관광 재개에 따른 교통, 사건·사고 등 사회적 혼란은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관계자는 “우리는 앞서 무차별적인 중국 관광객 유입으로 경제적 이익과 이에 따른 막대한 사회적 혼란을 경험한 바 있다”면서 “이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기 위해선 본격적인 관광객 유치에 앞서 제도적 안전장치를 마련, 기선제압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