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익적 접근” vs “차별화된 이미지”
“실익적 접근” vs “차별화된 이미지”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7.1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 돼지열병 청정지역 해제 놓고 관련 업계 의견 엇갈려
“육지산 돈육 반입으로 무의미” “OIE 규정준수로 재인증”

최근 제주도 방역당국과 농림축산식품부간 돼지열병 청정지역 지위 해제 경위를 놓고 공방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도민사회 일각에선 국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청정지역’의 이미지를 버리고 실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과 청정지역 지위를 되찾아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2013년 국제수역사무국(OIE)총회에서 돼지열병 청정화 규정이 평가 후 인증제로 개정됐고, 부처 간 업무혼선으로 이를 인지하지 못한 제주도가 재인증 신청을 하지 않으면서 청정지역 지위를 상실했다.

이 같은 사실은 최근 도의회 행정사무감사 자리에서 알려졌고, 방역당국과 농식품부는 관련 공문의 발·수신 여부를 놓고 ‘네 탓 공방’을 벌이기도 했다.

그동안 돼지열병 청정화 지역 지위는 대일본 수출을 위한 일종의 자격증과 같은 의미였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까지만 해도 국내 돼지고기 소비 편중 현상이 심해 안심과 등심, 전·후지(앞·뒷다리) 등 비선호 부위에 대한 소비를 위해 일본 수출을 진행해 왔다.

일본은 자국산 가축의 안전을 위해 구제역·돼지열병 등 가축전염병 발생국에 생산되는 생육 등에 대한 수입을 제한해 왔기 때문에 OIE가 정하는 청정화 지위는 곧 일본 수출의 허가증과 같은 역할을 했던 게 사실이다.

여전히 일본은 OIE 규정에 충족되는 지역의 축산물만을 수입하고 있지만 국내 소비자들이 비선호 부위 선호 현상이 늘면서 굳이 수출을 할 이유가 없어진 상황이다.

업계 전문가는 “지난달 국내산 돼지고기 반입 금지 해제 조치의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가 돼지열병 지위 상실이었다”며 “제주도는 국내 규정을 들어 청정지역 이미지를 고수하고 있지만, 국제 규정에 불합하지 않는 청정지역은 의미가 없는 것이기 때문에 실익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국내산 돼지고기와의 차별화를 위해선 청정 제주의 이미지와 함께 돼지열병 청정지역 지위를 재획득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또 다른 관계자는 “그동안 제주돼지는 청정하다는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해 오면서 경제적으로 큰 효과를 봤다”면서 “이제와서 4년 전 잘잘못을 따지기 보다는 OIE가 정한 규정을 지켜 재인증을 받아야 한다. 그게 제주돼지의 경쟁력이 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