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건설에 대한 지역주민 등의 반대가 계속되고 있다. 2015년11월에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 및 온평리 일대를 대상으로 한 계획이 발표된 이후 만 2년째 ‘반대’다.
도내 공항인프라 확충은 도민 모두가 공감하던 숙원 사업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주민들을 중심으로 반대가 계속되고 있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무턱대고 반대를 하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추진 과정상의 ‘하자’ 또는 ‘오류’가 있기 때문일 개연성이 높다. 그러한 문제들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그래서 제2공항 갈등 해결의 시발점으로 ‘사업 타당성 재조사’가 거론되고 있다. 제2공항 반대 주민들의 요구에 대해 구본환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이 긍정 입장을 피력했다.
구 실장은 지난 27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열린 국토부·제주도·반대위·시민사회단체의 4자 비공개 좌담회에서 반대위의 제2공항 사업 타당성 재조사 요구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반대 주민들과 행정의 갈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말 그대로 좌담 자리여서 의미를 크게 부여해선 안된다는 신중론도 있지만 ‘물꼬’가 트일 가능성은 확인한 셈이다. 간담회를 마친 뒤 구 실장은 “아직 이야기 할 사안이 아니”라며 즉답을 피했다. 강원보 제2공항 반대위 집행위원장도 “절차도 중요하고 타당성 재조사도 하자는 이야기가 나왔다. 다만, 방법론적으론 논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밀어붙일 필요가 있다. 어차피 제2공항 사업 관련 ‘기본계획수립용역’을 발주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주민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 그리고 주민들이 원하는 사업 타당성을 다시 조사하는 것만큼 좋은 의견 수렴 방법도 없다고 본다.
전제는 국토부도, 반대측 주민들도 ‘100% 결과 수용’이다. 물론 용역의 객관성은 담보돼야만 할 것이다. 빙빙 말만 돌아가는 대화보다 사회적 갈등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단도직입적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사업 타당성 재조사에 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