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도지사의 비선으로 지목된 정무라인이 집중포화됐다.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위원장 고충홍) 소속 의원들은 24일 속개된 총무과와 공보관을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원 지사의 보좌진들을 출석시켜 선거용 조직, 회전문 인사라고 비판했다.
강경식 의원(무소속 이도2 갑)이 SNS과 사업자 모임에 나타나 선거운동 논란이 일었던 라민우 서울본부 정책보좌관실장에게 날선 질문을 던졌다. 이에 라 실장도 “(앞선 행감에서 강경식 의원이)‘SNS를 잘했다’며 칭찬했는데 선거 운동한 적도 없고 그런 위치도 아니”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위증하면 처벌을 받는다. 9월 26일 소위 잘나가는 사업자와 만난 것은 뭐냐”는 강 의원의 질문에 라 실장은 “문제가 있다면 차라리 고발해 달라. 정책보좌관 실장으로 도민을 만나는 것은 당연할 일”이라며 강한 불만을 표출하기도 했다.
강 의원은 음주운전으로 처벌받은 보좌관이 청렴정책을 논하고 있는 점, 정책 문서 건수도 단 한건도 없는 점을 추궁하며 “앞으로 제도개선 등을 통해 이상한 눈으로 보이지 않도록 바로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영진 총무과장이 “필요성이 있어 채용한 것이다. 다만 업무 자체가 밖으로 표출이 잘 안 된다. 회의 때 지시를 통해 나올 수 없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에 박원철 의원(더불어민주당, 한림읍)은 “과장이 답변을 잘해야 한다. 이 조직들이 도정이 하는 일을 재점검한다는 것으로 들리는데, 제주도청 공무원들이 일을 잘 못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것이냐”며 “재선을 위한 선거용 조직으로 밖에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 과장이 “보통 도지사 보좌 정무역할은 성과를 내는 것 보다 보이지 않는 일이 많다. 관련 자문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제주도에 정책 실무위원회도 다 두고 있다. 하는 일이 티타임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경희 의원(자유한국당, 비례대표)은 제주와 연고가 없는 원희룡 지사의 팬클럽 회원, 원 지사가 국회의원 당시 함께 일했던 보좌관, 서울본부 자문위원 등 관개인적인 지사의 ‘친분’으로 채용됐다고 지적했다.
이상봉 의원(더불어민주당, 노형을)은 “대선후보로 거론되는 안희정 지사의 비서실에도 공무직을 포함해 6명만 근무한다”면서 “정책역량과 개발능력을 키워야하는데 제주도처럼 한다면 정책은 사라지고 도민 혈세만 낭비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