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추진 위해선 제주연구원 증원 선행돼야”
제주도내 치매 환자가 1만 800여명으로 유병률이 전국 최고 수준이지만, 이를 관리하는 인력은 턱없이 부족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0일 속개한 제355회 제주도의회 임시회에서 보적복지안전위원회 소속 김영보 의원(자유한국당, 비례대표)는 보건복지여성국을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올해 제주도의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가 14%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노인정책을 적극 추진해 달라”고 주문했다.
김 의원은 “실행계획 추진을 위해서는 2018년도 예산 편성과 함께 연구 및 사업추진 인력증원이 가장 필요한 사안이다. 하지만 현재 제주연구원 내 고령사회연구센터의 인력은 실제 한명 뿐이다. 한명이 모든 사업을 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센터장을 겸임하고 있는 고승한 연구위원도 내년 연말이면 퇴직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센터장에 대한 고민도 함께해야 한다”고 말했다.
치매안심센터와 치매안심병원 유치, 경로당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지역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최근 정부가 치매 국가책임제 운영을 위해 중증 치매 환자의 집중 치료를 돕는 치매안심병원을 설치·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정작 제주는 공립요양병원이 마련돼 있지 않아 단기간 내 설치는 불가능한 상태다.
정부가 지원하는 치매안심병원은 지자체 공립요양병원에 보다 전문화된 치매 센터 기능을 보강하는 것으로 현재 전국 지자체 중 제주와 세종시에만 마련되지 않고 있다.
또한 현재 제주도는 보건복지부에 치매안심병원 지정을 위한 공립요양병원 신축 지원에 대한 요청을 한 상태지만, 협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제주도는 치매안심병원 대안으로 올해 말 도내 6개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를 순차적으로 설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