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경제를 살리자(10) "위축되는 도내 1차산업 도ㆍ농 협력으로 넘는다"
제주경제를 살리자(10) "위축되는 도내 1차산업 도ㆍ농 협력으로 넘는다"
  • 고창일 기자
  • 승인 2005.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사랑 기업사랑 1사1촌 자매결연' 운동…대안 제시

제주경제를 살리자 10- '농촌사랑 기업사랑 1사1촌 자매결연' 운동
전통적인 농업국가인 한국이 엄청난 변모를 거듭하는 가운데 제주도 또한 여기에 무관하지 않은 채 '좁아드는 1차산업의 입지'에 신음을 내고 있다.
제주도의 1차산업 비중은 다른 지방보다 월등히 높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분석을 빌리자면 '농산물 수입개방'으로 가장 피해가 큰 과실작물이 '감귤'로 지적될 만큼 '1차산업의 붕괴'는 제주도 경제의 피폐로 이어질지도 모른다는 우려감이 팽배해지는 현실이다.
농업 전문가들은 향후 농촌의 발전 방향을 '불가피한 수입구조의 다변화'로 잡고 있다.

농사만 지어서는 '먹고살기 힘들어진다'는 분석으로 '농사외에 다른 부업을 통해 절반이상의 수입을 올리는' 일본 농촌형태로의 변화를 점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제주도는 '1사1촌 자매결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도심권 기업 및 대형기관 단체와 농어촌 마을 사이에 교류협력을 펼친다는 것으로 상호 공감대 확산을 비롯해 청정제주 농어촌 생산물 및 지역기업 생산 제품의 상호간 소비확대, 상호 방문을 통한 공감대 확산이라는 효과를 거뒀다.
특히 '반농 반어'형태의 마을 구조를 감안한 제주도는 농업마을만이 아니라 이를 농어촌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다.

지난 4월 11일 제주도-제주상공회의소-제주농협 간의 추진협약 체결을 바탕으로 '도민 통합형 제주경제살리기 대책'으로 삼았다.
한달사이에 지역내 기업 및 기관단체 35개와 농어촌 마을간 합동자매결연을 성사시킨 제주도는 지난달말 현재 85건으로 늘리고 올 연말까지 100건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지난 추석기간 중 결연마을 특산물 우선구매 등 활발한 교류가 눈에 띠면서 제주도는 이 사업 대상을 이 달부터 삼성 등 국내 대기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반면 이 사업에 대해 시큰둥한 시각도 존재하고 있다.
'농촌을 수혜자적 입장으로 놓고 도시 기업이나 단체들이 지원을 주로 하는' 종전의 사업형태로 여긴 탓이다.

하지만 제주도는 "농어촌 마을에 대한 일방적 지원이나 요청 등이 아닌 상호 대등한 입장이라는 것이 출발점"이라고 전제 한 후 "농어촌 마을은 도시민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청정안전 농축수산물을 생산하고 적정가격에 공급하는 동시에 도시민들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면서 "결연기업이나 단체는 특산품 우선구매, 휴가지 이용, 자녀 농어촌 체험, 결연마을 주민초청 회사 및 제품설명을 통한 공감대 형성 등을 도모하게 된다"고 소개했다.
도 관계자는 이어 "이달부터 적극적으로 다른지방 대기업과 도내 농어촌 마을을 연결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면서 "청정 농수축산물 생산지로 각광을 받는 제주 농어촌 마을이 별 다른 마케팅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크게 부각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