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원 증원’ 무산될 경우 대안은 있나
‘도의원 증원’ 무산될 경우 대안은 있나
  • 제주매일
  • 승인 2017.10.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의회가 도의원 정수를 현행 41명에서 43명으로 증원하는 ‘제주도의회의원 정수에 관한 특례’ 개정 촉구 결의안을 상정 채택했다. 이는 특별법 제36조에 있는 도의원 정수를 ‘도 조례로 정하도록 하는’ 법 개정을 촉구한 것으로, 재석의원 36명 중 34명이 찬성했다. 무소속인 강경식·허창옥 의원은 기권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의원들은 이 결의안에서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우 지방의원 1인당 주민 수가 전국 광역시도 평균보다 월등히 높아 주민 대표성과 지역 대표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도의원 정수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앙권한 이양 및 특례로 제주도지사의 권한은 점차 강화되고 있다. 반면에 이를 감시하고 견제할 도의회의 권한과 위상은 정체되어 있고, 도민사회의 갈등 해결을 위한 업무 과중 역시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나섰다.

도의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결의안을 대통령과 국회의장, 국무총리 및 행정안전부 장관 등에게 전달키로 했다. ‘물 들어야 곰바리 잡는다’는 속담처럼 때늦은 감은 있으나, 어떻든 도의회가 갈피를 잡지 못하는 내년 도의원 선거와 관련 한 목소리를 냈다는 점에서 의미는 있다.

그러나 이번 ‘도의원 2명 증원’안이 무산될 경우 과연 다른 대안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가 없다. 더욱이 내년 6월13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따른 선거구 획정안 제출일(12월 12일)은 채 2개월도 남지 않았다.

선거구획정 문제가 수개월째 표류해 왔음에도 지금까지 가만히 있다가 불쑥 결의안을 채택한 것은, 책임 회피용 ‘생색내기’에 불과하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무책임의 정치가 어떤 결과를 낳을지 자못 궁금해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