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문화재사업 폐기 예술사업만 몰두 역행”
“초기 문화재사업 폐기 예술사업만 몰두 역행”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7.10.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명만 의원 행감서 문예재단 운영 전반 재진단 필요성 지적

제주문화예술재단이 사업비에 의한 계약직 직원들로 예술사업에만 몰두한다는 지적이다. 재단의 사업 범위와 조직 구성을 재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제주도의회 김명만 의원은 17일 제355회 임시회 제주문화예술재단 행정사무감사에서 이 문제를 집중 거론했다.

김 의원은 “제주문예재단 전체 직원 53명 중 28명이 비정규직으로 다수가 사업 기간에 따라 짧게는 6개월에서 34개월까지 구미에 맞게 계약됐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문화유산기획사업본부 직원 16명 중 본부장과 팀원 1명만 정규직이고 나머지 14명은 사업비로 운영되는 계약직이다. 차후년도에 사업비 지원이 끊기면 모두 계약 해지 대상이다. 예술공간 이아도 직원 8명 중 비정규직이 6명이고, 이 중 4명은 올해 말 계약이 만료된다. 이들 4명 모두 프로그램 관리 전시기획 전문가들이다.

김 의원은 “팀장급조차 사업비에 의존한 비정규직”이라며 “또 다른 청년실업을 양산하는 무책임한 채용”이라고 비판했다.

제주문예재단의 사업 범위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김 의원은 “한 때 최대 수익사업이었던 문화재연구소 조직을 2010년 폐지하는 등 문예재단은 점차 스스로의 업무를 예술분야로 좁혀나가는 역행을 하고 있다”며 “때문에 지금 외부에서는 예술재단을 예술분야의 업무만 처리하는 곳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제주문예재단의 예산이 개원 초기 7억원에서 17년차가 되는 올해 140억 원대로 20배 늘었지만 정원은 21명에서 25명으로 겨우 4명 증가했다”며 “사업에 따라 비정규직만  양산할게 아니라 재단의 목적사업을 최대한 살리면서 전문성에 충실한 조직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충고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