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곤 의원 “붉은 불개미 예견된 사태”
위성곤 의원 “붉은 불개미 예견된 사태”
  • 김종광 기자
  • 승인 2017.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10년 이후 해외병해충 검출 건수 7만건 육박
아시아지역 수입화물에서 해외병해충 가장 많이 검출

최근 부산에서 해외병해충인 붉은 불개미가 발견된 가운데, 지난 7년간 전국 공·항만에서 수입검역에 따른 해외병해충 검출 건수가 무려 7만건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서귀포시)이 7일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해외병해충 검출건수가 총 6만9445건이었다.

연도별 검출 건수는 2010년 9735건, 2011년 8873건, 2012년 9827건이 검출됐고, 2013년과 2014년에는 이전 3년보다 다소 하락한 7516건, 7890건이 검출됐지만, 2015년에는 2014년 대비 36%가 증가한 1만2075건이 검출됐으며, 2016년에는 1만3529건에 달하는 해외병해충이 검출됐다.

해외 병해충이 가장 많이 검출된 대륙은 아시아 지역으로 조사됐다. 지난 7년간 아시아는 4만7025건으로 전체 검출건수 중 68%를 차지해 7개 대륙 중에서 가장 많은 병해충 검출 건수를 기록했다. 북미 8580건(12%), 유럽 5665건(8%), 남미 3464건(5%), 아프리카 2101건(3%), 오세아니아 2005건(3%), 중미 425건(1%)이 뒤를 이었다.

이와 함께 검역에 따른 해외병해충 검출율이 해마다 높아지고 있지만 이를 보완할 인력구성은 수년째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검역관은 지난 2010년 359명,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줄곧 355명선을 유지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362명으로 겨우 7명이 증원됐다가 지난해 4명이 감소한 358명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입검역 건수는 약 5배가 증가했다.

위성곤 의원은 “1990년 이래 우리나라에 유입된 해외병해충이 89종에 달하고, 2000년 이후에만 34종이 유입된 것으로 확인되는 등 해외병해충 유입 피해가 현실화 되어가고 있다”며 “정부는 해외병해충 문제 해결을 위해 병해충 예찰·방제 및 역학조사 기능 강화, 국경검역 인력보강, 고위험 수입식물 위험평가 및 병해충 진단·연구기능 강화와 같은 대안 마련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