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비 연안재해 대응 필요”
“기후변화 대비 연안재해 대응 필요”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7.0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연구원 박창열 연구원
이슈브리프서 필요성 제기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제주지역 연안 저지대의 침수 피해, 모래 유실 등의 연안침식 문제가 반복됨에 따라 장기적 관점의 연안재해 대응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제주연구원(원장 강기춘) 박창열 책임연구원은 28일 발간된 JRI이슈브리프 ‘기후변화 대비 제주도 연안재해 대응방안’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안지역의 재해 관리는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등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시설물 사업 중심으로 단기적 관점의 예방 사업에 중심을 두고 있다. 기후변화 영향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설계기준으로 제한된 방재시설 외에도 장기적 관점의 탄력적인 대응방안 마련과 위험지구에 대한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 책임연구원은 연안재해 관리를 위한 선진사례 조사를 토대로, 기후변화 대비를 위한 제 △제주도 연안재해 위험수준과 현재의 방재능력 진단을 위해 제주도 특성에 맞는 재해취약성 평가를 정례화 △재해 위험등급에 따라 연안지역의 위험지구를 지정하고 위험등급에 따른 수준별 관리체계(개발규제, 건축, 행위제한 등) 구축 △인공구조물은 경관 훼손의 우려가 크므로 연안경관 보전을 위해 자연친화적·지속가능한 자연 방재자원(자연암 등)을 활용 등을 제안했다.

박 책임연구원은 “제주도는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력이 매우 높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방재능력을 갖는 시설사업에 국한하여 연안재해에 대응하고 있다.”며 “제주도 특성을 고려한 재해취약성 평가를 통해 보다 탄력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위험지구에 대한 관리체계를 강화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