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행자가 해외에서 사건·사고에 처했을 때 비상연락처·소재지 등의 용이한 파악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영사 조력 서비스 제공을 위해 위해 외교부가 운영 중인 해외여행자 인터넷 등록제 ‘동행’서비스가 국민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강창일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시 갑)이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9년 2월부터 시행된 해외여행자 인터넷 등록제 ‘동행’서비스의 실적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외교부는 2009년 2월부터 해외여행 중 대규모 재난·재해 발생 시 재외국민의 안전 확보, 불의의 사고 발생 시 한국 가족에 사고사실 전파, 목적지의 치안상황이나 자연재해 가능성 등을 공지하며 재외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해당 서비스를 선보였다.
하지만 해당 서비스에 대한 홍보가 저조하고, 가입 시 번거로움으로 인해 많은 국민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동행’서비스의 실적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시행 첫해인 지난 2009년 등록률은 0.075%로 전체 해외여행자 949만 명 중 단 7118명에 불과했다. 2010년에는 급격히 감소해 전체 해외여행자 1248만 명 중 0.044%에 달하는 5574명만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2012년에는 전체 1373만 명 중 0.03%에 해당하는 4140명만 해당 서비스를 이용했다.
이후 2014년에는 전체 해외여행자 1608만 명 중 0.119%(1만9219명)이 등록 하며, 서비스 시행 이후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였지만, 이용자 수는 다시 줄어 지난해 전체 해외여행자 2238만 명 중 0.049%(1만1189명)만 ‘동행’서비스를 이용했다.
강 의원은 “해외여행객 증가 등에 따라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제도의 필요성이 절실해졌지만, 재외국민에 대한 사건·사고 발생 시 외교부의 미흡한 대처로 국민들의 신뢰는 추락하고 있다”며 “재외국민 보호를 위함이 목적인만큼 외교부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