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락’ 지붕과 천장사이 공간
평균높이 1.5m 이하 바닥면적 제외
난방·화장실 설치하면 다락방
임대 유혹에 불법증축 발생
적발시 표준시가 50% 이행강제금
아이·가족위한 공간 활용 바람직
다락은 추억이 가득한 장소로 다락에 친구를 초대한다는 건 친하다는 사실을 뜻했다. 우리 문화에서 다락은 낯설지 않은 공간으로, 다락의 어원은 ‘달-악’으로 2층처럼 만들어 물건을 두는 곳을 뜻한다. 그 기원은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오른다고 하니 우리생활에서 그 존재감은 새삼 말할 필요가 없을 줄 안다.
어른들에게는 잡동사니나 집어넣는 창고에 불과한 공간인 다락은 아이들에게는 놀이터이자 보물창고였다. 어린시절 살던 집 안방 아랫목 벽면에 있는 작은 문을 열면 서너 개의 나무계단이 있었고, 계단을 오르면 쭈그리고 앉아 있어야할 정도의 조그마한 다락이 있었다. 다락 속 물건 대부분이 어머니의 살림살이였으나 종이상자 안을 헤집어 보면, 형들이 보던 야한 잡지나 아버지가 보셨던 낡은 책자도 있곤 했다.
일반적으로 ‘다락’은 지붕과 천장사이 공간을 가로막아 물건 저장 등 부수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건축법시행령 제119조 제1항 제3호 마목의 규정에 의하여 바닥면적에 산입하지 아니하는 다락이라 함은 층고가 평균높이 1.5m(경사진 형태의 지붕인 경우에는 평균높이 1.8m)이하인 것에 한한다.
그 기능상 거실로 사용하지 않는 곳이므로 바닥면적에서 제외한다. 그러나 거실로, 즉 다락방으로 사용하기 위해 난방시설과 화장실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동 부분의 면적을 바닥면적에 포함해야 한다. 이를 잘 몰라 ‘다락방’으로 위법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최근 건축붐이 불면서, 건축허가시 지구단위지침에서 경사지붕을 설치토록 규정, 자연적으로 평지붕에서는 생기지 않는, 대부분의 주택들은 다락을 설치하는 경향이 많아졌다. 건축연면적에는 포함되지는 않지만 시공자들이 건축공사비에는 반영함으로 인해, 건축주들은 이 공간을 다락방으로 꾸며주기를 바라고, 적극적으로 다락방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세난이 심각해지면서 경사지붕으로 지어진 주택들마다 옥상에는 작은방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멀쩡한 옥탑 같지만 사실은 옥탑에 딸린 다락을 뜯어고쳐, 불법으로 다락방을 만든 것이다. 분양받은 주인은 불법 다락 쪼개기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 전세난에 임대수요가 많아 수익이 쏠쏠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다락방 불법증축은 적발될 경우 자칫 ‘큰 대가’를 치릴 수 있다. 표준시가의 절반에 가까운 이행강제금이 부과된다.
수십년간 설계·감리를 하다보면 대부분의 건축주들은 건축법을 잘 몰라 부동산 업자나 무면허 시공자들의 말만 믿고 무모하게 공사를 진행하다가 곤혹을 치르는 경우를 많이 봐왔다. 최근엔 건축법 및 재료·구조기준이 강화돼 더욱더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한 데도 이러한 행태가 여전해 보인다.
그래서 다락의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활용 방안을 생각해봤다. 건축물 안전을 위해 다락의 피난 및 안전관리 등에 필요한 사항을 갖추면서 첫째로 아이들을 위한 공간으로 꾸며주는 것이다. 비밀공간을 좋아하는 아이에게는 조금 위험해 보이는 다락 대신 그들이 좋아하는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천장이 어른들에게는 다소 낮지만 아이들에겐 충분하고 멋질 것이다.
다음으로는 가족들을 위한 공간이다. 가족실을 구성, 추후 공간을 분리할 수도 있는 가변형 공간으로 설계하는 것이다. 이웃집 영향을 많이 받지 않고 최상층이면 층간소음에 대한 스트레스도 없고, 거기에다 피아노를 놓고, 운동기구를 설치하면 아랫집 눈치를 안보고 음악도 즐길 수 있고, 간단한 운동도 할 수 있는 훌륭한 공간이 된다.
다락은 예로부터 우리 삶에서 추억과 낭만의 공간이었고, 생활의 물건을 보관해오던 창고였다. 그런데 현행 건축법상 높이기준과 위생설비시설이 안되는 비거실 공간으로 규정, 선량한 국민들을 ‘범법자’로 만들어버리는 상황이다.
대부분의 건축주는 법을 잘 모르기에 주변에서 지어지고, 사용되는 다락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런데 다락에 대한 건축기준이 더욱 강화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어 문제가 심각하다. 현실적으로 건물주들이 다락에 대한 이용 상황을 고려, 국민들의 정서에 맞게 법 개정이 이뤄져서 다락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