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들은 부모에게 ‘축복’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현실에선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맞벌이를 하는 상황에서 아이를 돌봐줄 사람이 없을 때 일이다. 아이들을 키워본 부모라면, 지금 키우는 부모라면, 그리고 미래의 부모 모두가 공감하는 문제가 아닐까 한다.
그래서 정부가 ‘돌봄교실’을 추진하고 있다. 돌봄교실은 2004년 교육과 보육을 동시에 돌보는 교육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도입됐다.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와 핵가족화 심화, 한 부모·조손·저소득층 등 어려운 환경에서 방치되기 쉬운 아이들에 대한 정부의 책임 실천 차원이다.
교육 ‘복지’의 확대다. 부모가 방과후의 아이를 직접 돌봐줄 수 있다면 최선이다. 그렇지 못하다면 학교라는 ‘공공의 틀’에서 돌볼 수 있다면 좋은 일이다. 차선은 몰라도 아이들이 방치되는 최악의 상황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제주도교육청은 ‘거꾸로’ 가는 형국이다. 돌봄학교는 지난 정부에서 국정과제로 추진되면서 밤10시까지 전 학년으로 확대됐다. 하지만 제주에서 ‘저녁돌봄’을 실시하는 학교는 2016년에 이어 2017년에도 1곳도 없다고 한다.
결국 부모는 퇴근하지 못했지만 돌봄교실에 참여하고 있는 어린이들은, 저학년들조차 오후 5시 이후에는 학교 밖을 나서야 한다는 의미다. 방학 중에는 운영 시간이 더 짧아지는 학교도 상당수다.
이게 무슨 ‘학교’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 마지막 한 명의 아이까지 잘 가르치는 것만이 아니라 잘 보듬는 게 ‘참교육’이라 생각하는 데 시간이 됐다고 아이들을 내치는 격이다.
학교의 역할은 ‘교육’이지 ‘보육’이 아니라는 입장이라고 한다. 이 또한 실망이다. 아이들에겐 교육이든 보육이든 상관이 없을 것이다. 그저 보듬어줄 손길이 필요할 뿐이다.
어른들의 행정의 잣대로 우리 아이들을 밖으로 내모는 것 같아 불편하기 그지없다. 제주도교육청의 전향적인 결단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