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기술이 빚어낸 아름다움
자연과 기술이 빚어낸 아름다움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7.09.18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현우씨 위성지도로 본 한국 갯벌 사진
내달 14일까지 갤러리카페 다리서 선봬

대한민국에 있는 3500여개의 섬과 바다. 위성 지도로 확대해서 들여다본 한국의 바다와 갯벌은 작품처럼 천연하고 아름다웠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 근무하는 공간정보 공학박사 최현우씨가 우리나라 갯벌의 신비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지난 18일부터 오는 10월14일까지 갤러리카페 다리에서 선보이고 있다.

최현우 박사는 작업과 연관해 업무적으로 보던 위성 지도가 각도를 조금만 비틀어주는 작은 변형만으로도 전혀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내는 모습에 관심을 가져왔다.

그는 “바다라는 화가는 모래와 펄이라는 거칠기가 다른 캔버스에 해조류와 식물, 빛 등 다양한 물감을 재료로, 밀물과 썰물, 바람이라는 붓으로 쉬지 않고 그림을 그린다”고 표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계5대 갯벌 중 하나인 서해 갯벌에는 끊임없이 다채로운 그림이 매일 시시각각 그려지고 있다.

너무나 독창적인 ‘바다 화가’는 그 먼 옛날부터 자신의 작품을 알아봐주기를 얼마나 기다려왔을까.

전시장에는 18점의 캡쳐한 영상이 전시되고 있다.

갤러리카페 다리는 광양초등학교 입구변에 자리했다. 문의=064-726-2662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진리 2017-09-19 03:56:43
인간의 장기가 이식되면 원래 주인의 생명과 상관없이 계속 생명을 유지한다. 그렇다면 인간은 하나의 주체에 의해서 통제되는 단일생명체인가 아니면 여러 생명체가 함께 살고 있는 연합생명체인가? 기존의 과학과 종교를 180도 뒤집는 이론으로 우주와 생명을 새롭게 설명하는 책(제목; 과학의 재발견)에 반론하면 5천만 원의 상금을 준다는데 학자들이 반론을 못한다. 이 책은 서양과학으로 동양철학을 증명하고 동양철학으로 서양과학을 완성한 통일장이론서다.

아인슈타인의 공식(E=mc^2)이 옳다면 물질양자가 에너지양자로 변해야 한다. 그런데 어떤 양자가 다른 양자로 변할 때에 양자는 더 작아질 수 없으므로 변화의 과정이 없이 변해야 하는데 그것이 가능하겠는가? 우주의 모든 변화는 양자의 위치이동(결합이나 분해)에 불과하며 진정한 변화(양자의 소멸과 생성)는 창조와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조물주의 능력으로만 가능하다. 핵반응에서 나오는 열은 아인슈타인의 이론과 상관없는 다른 방법으로 생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