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 줄어 힘들 것”…일부 “폐지해야” 주장도
도내 4곳의 해양도립공원(서귀포·성산일출봉·우도·마라) 입장료의 적정 수준을 산정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지만 입장료 인상은 시기상조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 오후 2시 설문대여성문화센터에서 ‘해양도립공원 입장료 징수 개선 방안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 도립공원 입장료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고봉준 우도면 천진이장은 “입장료를 인상하면서까지 관광객에 부담을 줄 필요가 없다”며 “그동안 제주도가 우도를 찾는 관광객을 상대로 입장료를 받았지만 그 이익이 주민들에게 돌아오지도 않았다. 입장료 인상은 시기상조”라고 지적했다.
김광국 우도면 주민자치위원장도 “지난해 주민들이 입장료 인상을 건의한 것은 사실이지만, 지난 8월부터 렌터카 반입금지 이후 지역 업체가 힘들어하고 있다”면서 “결국 입장료를 인상하면 관광객은 더 줄어들 것이다. 도립공원 입장료 인상을 ‘유보’해달라”고 말했다.
유람선사들은 ‘형평성’ 논리를 내세워 도립공원 입장료 폐지를 주장했다.
강길수 제주마린리조트 상무는 “입장료 자체가 해양 환경보호를 위해 사용돼야 하는데 환경오염의 주범인 어선들에게는 요금을 받지 않으면서 관광객들에게만 징수하는 건 ‘형평서’에 어긋나는 것”이라며 “정작 관광객들은 해양도립공원이 어딘지도 모르면서 입장료는 내고 있다. 특히 해양도립공원이 목적지가 아닌데도 경유해서 간다는 이유로 입장료를 내는 것이 부당하다”고 역설했다.
전국 유선업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김덕규 파라다이스 대표 역시 입장료 폐지를 주장했다.
김 대표는 “도립공원 입장료를 내라고 하면 관광객들은 ‘내리지도 않는데 왜 돈을 내야 하느냐’고 반문 한다”고 말했고, 김용철 제주잠수함관광 부사장은 “제주 상공을 공원으로 지정해 비행기를 타고 지난는 사람들한테 입장료를 내라고 하는 꼴”이라며 입장료 폐지를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양보 도환경보전국장은 “이 자리에서 나온 의견과 지역 내 의견을 수렴, 용역을 통해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