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회 “파행 뻔히 알면서 강행…대화 의지 의문”
국토교통부의 제주 제2공항 추진과정 설명회의 파행은 예정된 수순이라는 평가다. 그동안 몇차례의 주민 설명회는 있었지만, 접점을 찾지 못하고 양측 입장만 확인하는데 그쳤다.
마을주민들의 “입지 선정 등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진 만큼 재용역을 하라”는 요구에 국토부는 “재용역을 하라는 것은 제2공항을 건설하지 말라는 것”이라며 불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마을회 차원의 부실 용역에 대한 수차례의 형사 고발에 공군기지 의혹도 해소되지 않아 반대 투쟁도 치열한 가운데 열린 주민설명회라 파행은 예견됐다.
서귀포시는 18일 김정문화회관에서 개최할 예정인 설명회에 대해 “시민들에게 제주 제2공항 추진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고 공유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국토부가 이번에 제시한 설명자료에는 △입지 선정과정의 투명성 △정석 비행장의 탈락한 정당성 △제2공항 내 군 시설 설치계획 없음 등 그간의 입장을 반복하는데 그쳤다는 평가다.
서귀포시도 주민들의 격한 반발을 예상했다. 이 때문에 주민설명회에 공무원들을 대거 동원했다.
주민들은 이번 설명회를 국토부와 서귀포시의 요식행위라고 주장하고 있다. 파행 될 것을 뻔히 알면서도 강행했다는 것이다.
국토부가 마을주민과의 입장차를 좁히지 못할 경우 제2의 제주해군기지가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제주도와 서귀포시가 주민과 국토부 간 가교역할의 중요성이 요구된다.
마을주민들은 원희룡 제주도지사와 이상순 서귀포시장을 겨냥해 “시민들과 진솔한 대화에 응하지 않았다. 시민들의 요구안도 국토부 핑계대기 바쁘다. 대화할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이어 “이장단과 만나서 끝낼 것이 아니라 진솔한 대화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제주해군기지 문제도 해결하지 못한 것이 아니냐”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제주도는 2018년 1월까지 동굴조사와 전략환경평가, 기본계획을 수립한 뒤 기본·실시설계를 실시하고 2020년 7월 착공할 계획이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한발자국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 주민들과의 진솔한 대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