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교육감 자치권 침해 개선 필요”
“검찰, 교육감 자치권 침해 개선 필요”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7.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석문 교육감, 전국교육감협서 공동대응 제안
행정소송 시 검찰 지휘 문제…헌법소원도 검토

이석문 제주도교육감이 지난 정부에서 이뤄진 교육감에 대한 무리한 법적 대응이 앞으로는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육감은 진영옥 교사와의 소송 과정에서 검찰이 무리하게 상급심 진행을 압박해 교육감의 자치권이 침해당했다며 이는 특정 시도교육감만의 문제가 아닌 만큼 공동으로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4일 제주에서 열린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제안했다.

이 자리에서 이 교육감은 교육부에 대한 공동 건의문 제출과, 필요시 관련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 제기 가능성까지 내비쳤다.

이 문제는 최근 제주지방검찰청이 민주노총 총파업을 주도했다 해임돼 행정소송을 제기한 진영옥 교사의 상고를 도교육청이 뒤늦게 집행한 데 대해 소송 수행자인 이석문 교육감에게 기소유예 처분을 내린 것이 발단이 됐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소송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는 ‘행정소송은 소관 행정청의 소송수행자가 그 법원에 대응하는 검찰청장의 지휘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때문에 도교육청은 진영옥 교사와 소송을 벌이는 과정에서 교육청의 판단과 별개로, 검찰 측의 지휘를 받아야 했다.

실제 2015년 도교육청은 진 교사가 이전 교육감 체제에서 내린 해임처분 취소 소송에서 승소하자 항소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제주지검의 지휘를 받고 항소장을 제출한 바 있다.

당시 이 교육감은 “안타까운 일이지만 항소장을 제출하지 않으면 담당자가 불이익을 받게 된다”고 불가피성을 피력하며 구조적인 모순을 지적했다.

이후 진영옥 교사는 대법원으로부터 해임이 부당하다는 최종 판단을 받고 학교로 복직했다.

그러나 올초 서울의 한 학부모 단체가 제주도교육청이 진영옥 교사 소송 건에서 뒤늦게 상고를 했다며 이석문 교육감을 직무유기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고, 이 교육감은 최근 기소유예 처분을 받게 됐다.

이 교육감은 이 같은 무리한 고발과 법 집행은 교육감의 자치권을 위축시킨다며 재발 방지 조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현재 도교육청은 교육감이 거론한 헌법소원 등 법적 조치까지 포함한 대응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당시 즉시상고를 하지 않은 것은 진 교사의 고통을 고려해 교육자로서 명예를 지켜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직무를 수행한 것이었다”며 “새 정부 들어 적폐 청산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진보교육감 통제를 위한 무리한 법적 대응 역시 적폐 리스트에 올려야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