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4·3 교육 흔들리지 않게”
도교육청 “4·3 교육 흔들리지 않게”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7.08.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집필기준 연구용역 실시 후 교육부 전달 예정
검인정 역사교과서 왜곡·축소 선제 대응 조치
▲ 지난 2일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제주도재향경우회 등이 제주4·3평화공원을 찾아 분향하고 있다. 제주4·3은 지난 2000년 특별법이 제정되는 등 내·외형적으로 많은 치유의 작업들이 진행돼 왔지만 최근까지도 교과서에 따라 왜곡 축소 기술되는 듯 이념에 좌우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검정 역사교과서 제주4·3 집필기준안을 마련한다.

박근혜 정부가 추진했던 국정 역사교과서가 폐지됨에 따라, 검인정 역사교과서의 제대로 된 4·3 서술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왜곡·축소 기술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도교육청은 오는 10월부터 검인정 교과서 4·3집필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용역에 착수한다.

지난 18일 열린 ‘검인정 역사교과서 4·3 집필기준 마련 TF 협의회’에서는 오는 10월부터 12월까지 용역비 1900만원을 들여 관련 용역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당초에는 역사 교사와 4·3 전문가, 학교장, 교육 전문가 등으로 꾸려진 TF가 직접 집필 기준을 마련하려고 했으나, 설득력을 갖추기 위해 전문기관에 맡기는 것으로 일정을 변경했다.

도교육청은 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교육부에 서술 기준을 전달해 검인정 역사교과서 연구·집필진이 반영하도록 요청할 계획이다.

도교육청의 이 같은 움직임은, 지난 2000년 제주4·3특별법이 제정되고 2003년 국가 원수의 사과가 있었음에도 정권과 기관의 성향에 따라 4·3 왜곡·축소 기술이 계속 이어져왔기 때문이다.

일례로 지난해 11월 교육부가 공개한 중학교 역사 및 고등학교 한국사 국정교과서 현장 검토본에서는 제주4·3사건 발생에 대한 배경과 정치적 상황이 거의 설명되지 않은 채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를 주요 원인처럼 기술하는 등 4·3이 한국 현대사에서 갖는 비중에 비해 내용이 대폭 축소·왜곡 기술됐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한국사 국정교과서 편찬에 참고도서로 활용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광복 70년사’ 시리즈물에도 제주4·3이 여수·순천사건과 더불어 국내 공산주의 세력이 대한민국 수립에 도전한 사례로 왜곡 기술했다는 지적이 나왔었다.

김경도 교육연구사는 “검인정 역사교과서에 제주4·3이 올바로 서술되면 교육과정을 통한 4·3전국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