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제품만 분리 발주한 학교 30곳 확인 불구
“중복조사 불필요” 주의 공문으로 마무리 수순

학교급식 식재료 납품 과정에서 특정업체에 입찰이 유리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 제주도교육청이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30개교에서 의심 정황이 포착됐다.
당초 일부 학교들이 읍면지역 배달 가능 업체를 선택하는 과정 등에서 불가피 벌어진 일이라던 해명과 달리, 30개교 중 15개교가 제주시 동지역 학교로 나타나 더 세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도교육청은 더 이상 조사를 진행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17일 교육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지난달 학교 급식 식재료 납품업체들이 제기한 특정업체 입찰 특혜 문제에 대해 전수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당시 납품업체들은 일부 학교가 같은 공산품류임에도 특정회사 제품만 분리 발주해 특혜를 주고 있다며, 도교육청에 조사를 요구했다. 이들은 일부 학교가 제품의 성분 함량을 소수점까지 세세하게 표기하는 방식으로 제품을 특정 한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도교육청이 도내 전체 학교의 지난 6월 가공식품 현품설명서와 발주 형태를 조사한 결과 △성분함량을 포괄적으로 표시한 학교 37교 △일부 상품에 대해서만 상세히 표시한 학교 46교 △모든 가공식품에 대해 상세 표시한 학교는 101교로 나타났다.
도교육청은 일부 제품만 분리 발주한 46개교 학교에 대해서는 특정업체 제품을 구매한다는 의혹을 부를 개연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도교육청은 “조만간 도교육청 감사관실에서 급식과 관련한 특정감사를 진행할 예정이어서 중복 조사의 필요성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각 학교에 주의 공문을 보내는 것으로 마무리 수순에 들어간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면서 일부학교들이 통합발주 지침을 어긴 이유에 대해 △안전성과 품질이 검증된 식재료를 구입하고 △소량도 외곽지 소규모 학교까지 납품해주기 때문이었다는 일부 학교의 속사정을 전하며 학교별 여건에 따라 불가피한 경우가 있었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하지만 취재결과, 도교육청의 이 같은 해명과 달리 감사관실의 급식 특정감사는 연초 확정된 계획으로, 이번 조사 결과와 관계없이 무작위로 10개교를 감사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특정업체 제품만 분리 발주한 46개교 중 앞서 납품업체들이 의혹을 제기했던 P사 제품만 분리발주한 학교가 30개교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 민원 내용에 신빙성을 더했지만 도교육청은 조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입을 다물었다.
이런 가운데 특정제품만 분리발주한 30개교 중에서는, 앞서 도교육청이 외곽지 배달 이유를 거론했던 것과 달리, 15개교가 동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도교육청의 대응에 논란이 커지고 있다.
교육청 안팎에서는 “급식 민원에 대한 담당부서의 태도가 컨트롤 타워로서의 격에 맞지 않는다”며 제 역할을 잊은 상식 밖 대응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