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역시 원전 위험… 신고리 5·6호기 반대”
“제주 역시 원전 위험… 신고리 5·6호기 반대”
  • 김진규 기자
  • 승인 2017.08.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전한 탈핵사회를 위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제주행동(이하 제주행동)은 17일 “제주도도 원전의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도내 시민단체와 노동단체, 진보정당 등 28개로 구성된 제주행동은 이날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주장하며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촉구했다.

제주행동은 “제주도는 원전과 상관없는 지역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으나 원전이 가장 많이 위치한 부산의 고리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제주지역 역시 피해를 벗어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제주지역에 원전이 유지될 가능성을 전혀 무시할 수 없다. 지난 2010년 제주도는 소형 원자로인 스마트 원자로의 시범을 유치를 추진 한 바 있다. 탈원전을 완전히 매듭짓지 못한다면 결국 제주도 역시 핵발전이라는 이유로 어두운 미래를 짊어질 수 있다”고 했다.

제주행동은 “이런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탈핵의 시발점은 신고리 5, 6호기의 백지화”라며 “문재인 정부의 탈핵시나리오는 향후 40년 안에 탈핵 목표가 달성되지만, 신고리 5, 6호기가 건설된다면 이 계획은 최소 20년 이상 뒤로 미뤄지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우리는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담보로 위험한 전기생산을 이어가는 것에 반대한다. 이런 모순을 끝내기 위한 첫 걸음으로 신고리 5, 6호기 백지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