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직후 우리나라 교과서는 어땠을까
광복 직후 우리나라 교과서는 어땠을까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7.08.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교육박물관, 초등국어교본 등 18권 특별전시
▲ 제주교육박물관, 광복 직후 우리나라 교과서 특별 전시

제주교육박물관(관장 김보은)이 올해 광복 72주년을 기념해 광복 직후 우리나라의 교과서를 특별전시하고 있다. 

전시장에는 1945년 11월 20일 군정청 학무국에서 발행해 1946년까지 사용한 초등학교용 최초의 국어과 정규 교과서인 ‘초등국어교본’ 등 당시 교과서 18권을 15일까지 선보인다.

광복 직후의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미군정 하의 ‘교수요목기(1945~1955)’로, 식민지 교육에서 벗어나 민주주의 교육으로 발돋움하던 시기였다.

특히  '초등국어교본' '중등국어교본' '한글 첫 걸음' 등을 편찬한 조선어학회(현 한글학회)는‘국민정신을 높일 만한 것, 건설적이고 진취적이며 명랑한 기상을 조장시킬 만한 것’ 등의 발간 경위를 앞세워 일제강점기 일본어 중심의 교육을 타파하고 우리말 교육에 앞장섰다.

한편, 특별 전시는 제주교육박물관 제1전시실에서 볼 수 있다. 문의=064-752-9104.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