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인 하우스’ 地上權 경매 미스터리
‘올인 하우스’ 地上權 경매 미스터리
  • 제주매일
  • 승인 2017.08.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산읍 섭지코지에 위치한 ‘올인 하우스’는 지난 2003년 방영된 SBS 인기드라마 ‘올인’의 세트장이다. 그해 여름 태풍 ‘매미’의 내습으로 세트장이 크게 파손되자 서귀포시(당시 남제주군)가 관광객 유치를 위해 2005년 6월 건물을 복원했다. 이 과정에서 드라마 제작사인 초록뱀씨앤디(지분 64%)가 올인(주)을 설립해 건물 소유권을 얻었고, 남제주군은 5억원을 출자해 올인(주)의 지분 25%를 확보한 바 있다.

이런 사연을 간직한 ‘올인 하우스’가 지난 4월 지상권 경매에서 13억1990만원(감정가의 98.4%)에 낙찰됐다. 이를 사들인 곳은 제주지역 모 유통업체로, 최근 잔금까지 치르고 법적인 인수절차를 마무리한 후 카페 등으로 리모델링 영업을 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미스터리한 부분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이번에 낙찰을 받은 것은 ‘지상권’에 국한됐다. 현재 해당 건물(지하 2층, 지상 1층)의 토지 소유권, 그리고 건물 철거권한은 가처분신청을 통해 신양리마을회가 갖고 있다. 당초 마을회가 이 건물을 매입해서 활용키로 했던 것도 바로 이런 사정을 감안해서다.

더욱이 해당 건물은 (지목상) 도로가 없는 이른바 맹지다. 주 출입로는 보광그룹 소유다. 때문에 경매업계에서도 모 유통업체가 과연 무엇을 노려 13억원이란 결코 작지 않은 돈을 투자했는지, 이번 지상권 낙찰을 의아스럽게 바라보고 있다.

‘올인 하우스’를 매입 주민복지를 위해 활용할 계획이던 신양마을회로선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는 격’이 됐다. 이에 마을회는 보광 측에 요청해 일단 출입로를 봉쇄한 상태다. 향후 건물 리모델링 등 공사에 대비해 차량 진출입을 막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물론 ‘지상권’은 일종의 물권이므로 침해를 당한 경우 지상권에 의한 각종의 물권적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낙찰자가 어떤 복안을 갖고 있는지는 몰라도, 자칫 지역주민과의 감정싸움 및 법적 분쟁으로 비화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런 마음이 앞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