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농가부채 규모가 5년새 76%나 늘어나는 등 농가경제를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농가부채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통계청의 ‘농가 경제조사 결과’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농가당 평균 부채는 4523만1000원으로 지난 1999년의 2571만6000원에 비해 75.9%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평균 45.1%(1853만5000원→2689만2000원)에 비해 무려 1.6배 높은 증가율이다.
도내 농가부채 규모는 지난 99년부터 큰 변화와 함께 심각한 문제점을 보이기 시작했다.
1999년의 경우 농가소득이 2223만5000원인데 반해 농가부채는 2571만6000원으로 부채가 소득을 넘어선 것이다.
1993~1998년까지 도내 농가소득은 부채보다 1000~2000만원 가량의 차이를 유지하며 농가경제를 이끌어 왔던 것과 다른 양상이다.
농가들이 자신의 1년 소득만으로는 빚을 갚기 어려운 구조가 형성된 셈이다.
2003년 1300여만원까지 벌어졌던 농가부채와 농가소득의 차는 지난해 600여만원까지 좁혀졌으나 여전히 소득보다는 부채가 많은 형편이다.
이에 도내 농가부채 규모는 1989년 전국 평균을 뛰어넘는 1869만3000원을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전국 1위로 올라선 이후 계속해서 전국 최고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농가부채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는 것은 농업분야 신규투자 확대, 가계지출 증가, 농가부채 경감대책 시행 등에 의한 기존부채 상환 연장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농업비중이 큰 감귤 가격이 지난 99년 이후 내리 4년간 폭락하면서 농가경제를 크게 압박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농가들은 하루빨리 농사를 지어 부채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높이는 정책 도입을 바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