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류 결정되자 철회…문제 지속 제기·법적 대응 검토

제주도의회가 한진그룹 계열 한국공항㈜의 먹는샘물 지하수 증산 결정을 다음 회기로 미룬 가운데 이날 도내 시민사회단체들은 도의회 안팎에서 지하수 증산 반대를 촉구하는 시위를 이어갔다.
첫 시위는 이날 오전 9시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시작했다. 도의회 정문 앞에서 피켓 시위를 시작한 경실련 “원희룡 도지사의 지하수 공약 불이행과 민주당의 지하수 당론 변경은 도민들에 대한 ‘배신’행위”라며 “동의안이 본회의를 통과할 경우 환경도시위원회 소속 도도의원들에 대한 낙선 운동도 불사하겠다”며 신관홍 의장의 본회의 상정 거부를 요구했다.
이어 피켓을 든 제주시민단체연대회의는 “지하수는 도민의 공공자원”이라며 “한진 지하수 증산을 불허하고, 한국공항의 먹는 샘물 인터넷 판매도 중단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이들은 이날 오후 본회의 시간이 다가오자 도의회 의사당 복도를 점거, 한국공항 개발·이용 변경허가 동의안 부결을 촉구하는 시위를 이어갔다. 이들은 그러나 본회의 전 긴급 의원총회에서 상정 거부 입장이 정해지자 이들은 별다른 행동 없이 자진 철수했다.
제주도의회가 이날 상정 보류 결정을 내렸지만 이르면 오는 10월 임시회에서 이 문제를 다시 다룰 것으로 보이면서 시민단체들의 반대 운동도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경실련 양시경 공익지원센터장은 “(상정 보류 됐지만)마음이 놓이지 않는다. 결국 더불어민주당과 바른정당 등 주요 정당에서 명확한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면서 “내년 선거를 앞두고 도민 눈치를 보는 것 같다. 앞으로 (반대 여론이)잠잠해 지면 다시 올리겠다는 의도 아니냐”고 말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 이영웅 사무처장은 “도의회의 상정 보류 결정은 다행이지만, 도민 다수가 지하수 증산에 대해선 부정적 의견이 많다”면서 “그런 상황임에도 이 동의안이 상임위를 통과해 본회의 상정 직전까지 간 것은 도의회가 도민들의 대변자로서의 역할을 못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오는 10월 임시회에 상정 예고가 돼 있는데 그전까지는 계속 문제제기 해 나갈 것”이라며 “특히 이번에 도심의위에서 증산 통과는 특별법 위반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법률적 검토를 통한 법적 대응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