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인문대학 교수들이 20일 정부와 교육당국에 ‘대학의 회복’을 요구하는 집단 성명을 발표했다.
제주대 인문대학 교수 20인은 “대한민국 고등교육의 산실인 대학이 기술기능을 생산하고, 최적화된 직무능력을 갖춘 인력을 산출해내는 데만 집중하면서 점점 퇴행하고 있다”면서 “연구역량 강화, 교육지표 개선, 운영 효율화라는 논리 아래 교육자들과 대학을 획일적으로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오늘의 대학 붕괴는 내적 모순에서 비롯된 것만은 아니다”면서 “특별한 역량을 가진 지식인을 길러내는 학문적 공동체를 나태하고, 권위적이며, 비양심적이라고 ‘가정’하는 이들과 그에 동조하는 사이비들이 대학을 붕괴시키고 있다”고도 비판했다.
교수들은 “정부와 교육당국이 ‘교육의 질(質)’을 내세우면서도 정작 평가는 ‘양(量)’에 집착하는 모순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도 대학 퇴행의 한 이유”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교수들은 “학령인구 감소 등 교육환경의 변화를 구실로 한 일체의 대학 구조조정과 고등교육 재정지원 등의 관련 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대학 현장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 (대학 평가와 정책을)원점에서부터 다시 검토하라”고 요구했다.
또 "대학 역시 정부와 교육당국이 개혁과 평가, 재정지원을 핑계로 추진하는 일체의 비민주적이고 부도덕한 성과지표 개선 방안으로부터 벗어나 스스로의 정체성과 품위를 당당히 회복하라“고 촉구했다.
성명에는 김동윤, 김동전, 김석준, 김치완, 김희열, 문혜경, 배영환, 서영표, 신우봉, 양용준, 양정필, 유철인, 장인수, 장창은, 전영준, 정창원, 조성식, 조성윤, 최 현, 허남춘 교수가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