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 발주’ 핵심 피하고…‘제식구 감싸기’ 논란
도내 학교급식재료 납품 과정에서 특정 업체에게 입찰이 유리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20일 ‘오해’라고 해명자료를 냈다.
지난 18일 문제제기를 받을 당시에는 전수조사를 하겠다더니 불과 이틀 만에 학교현장의 ‘입장’만 발표하면서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도교육청은 20일 기자실에서 최근 불거진 급식재료 납품 비리 의혹에 대해 “학교에서는 아이들에게 품질이 검증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업체의 제품을 많이 구매하게 돼 오해가 발생한 것 같다”고 공식 해명했다.
도교육청은 “문제제기 내용이 충분히 합리적이라 실태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찾겠다”면서도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 건강, 다양한 식단 구성 때문에 식재료를 엄정하게 선정할 수밖에 없고, 위생적으로 안전성이 검증된 업체의 식재료를 신뢰하게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또, 논란이 된 P사 제품의 포장단위가 학교 급식에 적합한 경우가 많고, 소량이라도 외곽지 소규모 학교에까지 배달해주기 때문에 이용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같은 품목인데도 P사 제품만 별도 입찰을 부치는 관행에 대해서는 “묶어서 입찰을 올릴 경우 일부 품목을 확보하지 못하는 업체들이 투찰을 하지 않아 유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분리 발주했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날 도교육청의 발 빠른 해명에 대해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당초 의혹의 핵심은 왜 일부 학교들이 P사 제품 유통업체에 ‘특혜’(분리발주)를 주었냐는 것인데, 도교육청은 논란의 중심에 선 쪽의 입장만으로 해명자료를 냈기 때문이다.
특히 이날 도교육청 브리핑이 민원이 제기된 지 불과 이틀 만에 전격적으로 이뤄지면서, 전수조사를 약속했던 도교육청이 시작하기도 전에 학교 현장의 입장만 대변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소식을 전해들은 일부 도민들은 “도교육청이 조사결과를 손에 쥐지 않은 채 근거없이 ‘오해였다’는 판단을 공식화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