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간토·홋카이도 중심 2·3차 조사도 계획

제주특별자치도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최초로 일제강점기 강제연행 제주도민에 대한 일본 현지 조사에 나섰다.
제주도 평화협력과가 후원하고 제주연구원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박찬식)에서 추진하는 이번 조사는 ‘일제강점기 재일제주인 강제연행 이주경로 추적’이라는 주제로 진행되고 있으며, 재일제주인 연구를 진행한 고광명 박사(재외제주인연구센터 소장) 등이 조사에 합류했다.
이들은 이번 현지조사를 통해 일본 정부와 기업체들이 운영하는 전쟁터, 군수공장에 강제 연행된 군인, 군무원, 노무자, 위안부 등 제주도민의 행적에 대해 추적했다.
지난 1일부터 11일까지 1차 조사를 벌인 결과 일본 하시마(端島), 군함도(軍艦島), 다카시마(高島) 탄광 등 규슈(九州), 쥬고쿠(中國), 간사이(關西) 지역에서 제주인 명단을 추가로 밝혀냈다. 일부는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일제강점기 피해자 명부에도 누락된 것으로 확인됐다.
현지조사에 나선 고광명 박사는 “2011년 12월 31일 기준으로 강제동원 피해신고 접수는 22만 6638건으로 그 중 제주도는 2890건으로 군인 423건, 군무원 527건, 노무자 1910건, 위안부 1건, 기타 24건, 미표시 5건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현재 강제연행자 제주인은 국가기록원에 8715명이 등록됐다”고 밝혔다.
연구책임자인 박찬식 제주학연구센터장은 “일본 정부의 자료 공개를 위해 정부와 전국의 지방자치단체, 일본 시민사회단체, 한일 양국의 연구자들이 함께 네트워크를 구성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2차 조사는 도쿄 등 일본 간토(關東), 쥬부(中部), 도카이(東海) 지역에서, 3차 조사는 도호쿠(東北), 홋카이도(北海道)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