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도내 농업 종합자금 대출실적이 전국 9개 도 중 유일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농협이 대출심사를 까다롭게 하고 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농업종합자금제도는 농협이 수익성과 재무건전성을 갖춘 농가의 필요에 따른 시설 개ㆍ보수 등의 운전자금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지난 2000년부터 도입됐다.
이 제도의 시행으로 그동안 농업정책금융이 정부 주도 아래 기능별ㆍ품목별로 지원되면서 사업성이 낮은 부적격 농가가 선정되는 등이 문제점이 크게 개선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연리 3%e의 싼 이자로 농업인의 금융부담을 완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제주지역은 이 제도의 혜택을 상대적으로 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농업종합자금 대출실적은 311억9200만원으로 전년 315억3300만원에 비해 1.08% 감소했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대출이 56.4%(4813억9300만원→7530억4600만원) 늘어난 것과 대조를 보이는 것이다.
지역별로는 전북이 무려 90%나 늘어났다. 또 충북(76%), 경북(75.6%), 전남(60.2%), 경남(53.7%), 충남(46.6%), 강원(45.9%), 경기(43.6%) 등 다른 지역도 대출 증가율이 40%를 넘어섰다. 9개 도 중 제주만 유일하게 대출이 감소한 셈이다.
이에 따라 제주농협이 종합자금 대출심사를 너무 엄격하게 가져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주농협 관계자는 이에 대해 “농기계자금 대출이 많은 타 도의 경우 농기계 교체기간 도래에 따라 종합자금 대출이 증가했다”며 “그러나 시설자금 위주로 대출이 이뤄지는 제주지역은 그간 시설투자가 충분해 수요자가 적다”고 해명했다.
그는 또 지난해부터 보조사업으로 시행되고 있는 FTA기금 감귤하우스 시설사업도 종합자금 대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