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을 공약으로 국민의 선택을 받은 가운데 도내 공공기관별 비정규직 수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개발공사의 경우 사업 다각화와 생산직 확충 등을 통해 정원을 늘리면서 비정규직 ‘제로’시대를 연 반면 제주테크노파그인 경우 비정규직 비율이 전체 직원 수의 4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개발공사의 비정규직은 지난 2013년 48명, 2014년 44명, 2015년 35명, 지난해 1명으로 줄었고, 올해는 경비 업무를 제외한 단 한명의 비정규직도 없다.
제주개발공사의 정원도 2015년까지 333명에서 지난해 777명, 올해 780명으로 늘어나고 있다. 현원이 602명인 제주도개발공사는 올해 내 118명을 추자 채용할 예정이다.
제주에너지공사 역시 단 한 명의 비정규직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4명이던 비정규직은 2014년 3명, 2015년 1명, 지난해 0명으로 줄었다. 지난해 기준 제주에너지공사의 정원은 37명(현원 29명)이다.
정원 160명(현원132명)인 제주관광공사의 경우에 2013년 15명이던 비정규직은 2014년 15명, 2015년 5명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다시 7명으로 늘었다.
제주테크노파크의 경우 비정규직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었다. 총원 142명 가운데 비정규직은 모두 55명(38.7%)이다.
비정규직은 테크노파크가 2~3년간 맡는 정부 사업 기간에 한해 업무를 담당하는 위촉직과 행정 등 지원업무를 하는 일반계약직으로 나뉜다.
테크노파크의 예산 규모는 2014년 452억원에서 지난해 830억원으로 83.6%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정원은 85명에서 91명으로 6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테크노파크의 자체 분석 결과 노동생산성(1인당 7억원)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 정원은 120명이다.
노동생산성이 너무 낮으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너무 높아도 업무가 과중하다는 뜻으로 지난해 테크노파크의 노동생산성은 9억1200만원이다. 테크노파크의 정원을 늘리기 위해선 제주도와 당연직 이사인 산업통상자원부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앞서 원희룡 도지사는 지난 12일 제주도청에서 열린 공공기관 경영전략 보고회 자리에서 “ 일자리 양적확대도 중요하지만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과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인재 양성을 통해 미래 대비, 전략적 네트워크 개척 등 국제적으로도 협력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며 “일자리 확대 등 지역사회의 이익과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노력들이 평가받을 수 있도록 평가 방식을 전환하고, 중앙의 획일적 평가에서 벗어나 제주가 갖고 있는 본질적 문제의식을 반영하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