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의원 선거구 획정 등을 논의하기 위한 제주도와 도의회, 지역 국회의원 등 3자간 회담이 진행된다.
11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의원 선거구획정 등 현안 논의를 위한 도와 도의회, 지역 국회의원 등이 참여하는 3자간 간담회가 12일 오전 제주도의회 의장실에서 개최된다.
이날 간담회에는 원희룡 도지사를 비롯해 신관홍 도의장, 강창일·오영훈 국회의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일단 제1의제는 도의원 정수 조정과 이에 따른 선거구 획정 문제가 집중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하지만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행정체제 개편 문제도 언급될 것으로 보여 도민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내일 의제는 선거구 획정, 비례대표·교육의원 수 조정(축소) 등을 포함한 도의원정수 조정 문제가 최대 쟁점이 될 것”이라며 “현재 행정체제 개편 문제 역시 도민사회의 뜨거운 이슈 중 하나이기 때문에 비공식적으로 언급될 수는 있겠지만 현재로선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을 아꼈다.
일단 제주도는 이 자리에서 선거구 획정과 관련된 합의안이 도출될 경우, 즉각적인 여론조사 등을 통해 관련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제주도는 선거구 획정을 위한 여론조사를 실시키로 하고 관련 문항(초안)을 작성했다. 또 지난 4일에는 전문 여론조사기관과 계약을 맺은 상태다.
제주도 관계자는 “여론조사를 위한 준비는 마무리된 상태”라며 “이번 간담회에서 여론 조사를 위한 문구 수정 등이 결정되면 곧바로 여론조사를 실시, 선거구 획정 문제를 마무리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2월 제주도의회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위원장 강창식)는 당시 16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도민 51%가 ‘도의원 정수 유지’를 선택했다. 하지만, “급격한 인구증가로 제6선거구(삼도1·2, 오라동)와 제9선거구(삼양·봉개·아라동)가 헌법재판소의 인구기준 상한선을 초과해 내년 지방선거 때는 분구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현행 체제를 유지할 경우 더 혼란스러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도의원정수(현 41명)를 43명으로 늘리는 제주특별법 개정 권고안을 제주도와 도의회에 제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