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는 2017년 상반기 전체 도내 무역항 및 연안항의 항만물동량이 9328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7979t보다 약17%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기존에 건설 중인 공사작업에 따른 자갈, 모래 등 건설자재 물동량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화물 품목별로 살펴보면 자갈 240.6%, 모래 15%, 철재 5%, 기타 20.5% 증가로 주로 건설자재가 크게 증가했고, 채소 등 농산물은 17.7%, 비료는 22.2%, 유류 5.8%, 시멘트 4.2% 감소했다.
도내 항만별 물동량 비율을 살펴보면 제주항 68%, 서귀포항 6.1%, 애월항 9%, 한림항 7.1%, 성산포항 4.6%, 화순항 5.2%로 제주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항만별 증가폭은 서귀포항이 32.6%, 애월항이 22.2%, 제주항이 20.3%, 한림항이 12.1%, 성산포항이 4.1%로, 모두 건설자재인 자갈 및 모래가 주로 증가했다.
반면 화순항은 17.2% 감소했는데 이는 화순항을 통해 들어오던 자갈이 다른 항만을 통해 반입되면서 도내 항만 중 유일하게 물동량 감소를 보였다.
제주도 관계자는 “당분간 건설자재 등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항만을 통해 들어오는 화물 물동량이 계속 증가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