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정호수 물장오리 퇴적층 시추
산정호수 물장오리 퇴적층 시추
  • 김종광 기자
  • 승인 2017.07.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라산천연보호구역 기초학술조사 2차년도 연구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김홍두)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추진되는 한라산천연보호구역 기초학술조사의 일환으로 제주시 봉개동에 위치한 물장오리 분화구내 퇴적층 시추를 7~9일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시추작업은 산정호수인 물장오리(해발 937m)에서 진행되며 기초학술조사를 수행하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신중호)에서 진행된다.

시추작업은 직격 약 5cm로 깊이 5m 이내 4곳, 깊이 10~15cm 1곳, 총 5곳에서 물장오리 퇴적층을 표면에서부터 하부로 순차적으로 채취하게 된다.

시추된 시료들은 이후 퇴적물 입도 및 구성광물 분석, 퇴적물 지화학적 분석, 퇴적물 연대측정, 퇴적물내 생물흔적 분석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번 시추작업은 지난해 백록담 시추와 달리 소규모 장비의 힘을 빌려 사람의 힘으로 퇴적물을 채취한다. 시료채취와 이동 및 현장정리에는 약 1주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세계유산본부는 지난해 한라산 백록담 퇴적층을 시추해 백록담 분화구 형성시기가 최소 1만9000년 이상 되었음을 보고했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내륙지역의 고기후와 차별화된 제주도의 고기후적 특징을 일부 밝힌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