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논평 “전문가 아닌 측근 본부장 문제…元지사도 책임”
“제주관관 진흥의 과실을 사회에 환원하겠다”며 지난해 5월 야심차게 출범한 제주관광공사 외국인 시내면세점이 최근 영업부진에 따른 수익악화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제주도가 제1회 추가경정예산에 면세점 직원 인건비(19억원) 등 운영비 20억원을 편성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일각에선 심각한 경영 부실을 초래한 것에 대해 경영진이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고조되고 있다.
지난 2015년 7월 제주지역 신규 시내면세점 사업자로 선정된 제주관광공사는 이듬해 3월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롯데호텔제주에 외국인 시내면세점 문을 열었다.
제주관광공사의 면세사업 진출을 두고 일각에선 공기업이 민간 영역에 침범하는 것 아니냐는 곱지 않은 시선도 있었지만 “제주관광 진흥의 과실을 도민 사회에 환원하겠다”며 반대 여론을 잠재웠다. 제주관광공사는 개점 첫 해 650억 원의 매출과, 특허기간인 2020년까지 5년 내 매출액 1000억 원을 달성하겠는 야심찬 계획도 발표했다.
하지만 사업자 선정 이후 6개월 이내에 개점해야 한다는 법적 고시 조건에 쫓기면서 개점에만 열을 올리면서 해외 명품 브랜드를 실패 등으로 반쪽개점이라는 비아냥거림도 나왔다.
결국 제주관광공사는 화장품과 잡화, 제주산 제품 등 51개의 국내 브랜드 제품을 내걸고 면세점 운영에 나섰다. 그해 5월 제주관광공사는 2차 프리 오픈을 통해 전체 매장 2610㎡ 중 패션 부티크 매장을 제외한 75%를 가동하면서 면세점으로서의 체계를 갖춰나가기 시작했다.
하지만 개점 첫해 매출은 45억원에 그치면서 직원들의 인건비마저 줄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 같은 문제는 추경 예산안 심사에서도 논란이 됐다.
이런 가운데 일부 정치권에선 관광공사 경영진들이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하고, 선거 공신을 요직에 보낸 원희룡 도지사 역시 ‘부실경영’에 책임을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자유한국당 제주도당은 지난달 30일 논평을 통해 “제주도는 중국의 사드 보복 때문이라고 공사를 두둔하고 있지만, 제주를 찾는 내국인 관광객이 그 자리를 채우고 있다”며 “이는 공사의 경영 실패 때문으로 적자가 나면 제주도에 손만 벌리면 된다는 안이한 생각이 경영 부실을 초래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직원 인건비조차 지급하지 못하는 경영 부진이라면 경영진이 책임지는 자세부터 보여야 한다”면서 “전문가가 아닌 원 지사의 측근을 본부장으로 앉힌 것부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관광공사의 경영을 좌지우지 하는 인사가 원 지사의 선거를 도운 사람이라는 것은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이라며 “원 지사는 이런 인사를 경영책임석에 보내 경영악화를 초래한 것에 대해 원 지사의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하고, 경영 실패의 책임이 있는 인사의 사료를 받아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