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먹구구식 경영 큰 문제
그동안 황금 알을 낳는 거위로 인식돼 온 면세점 사업이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 이후 매출 급감으로 경영난을 격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가 제주관광공사 면세점 인건비(19억원)를 도민 혈세로 충당하겠다며 추경예산에 편성, 논란이 일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김경학)는 28일 제352회 제1차 정례회 회기 중 제5차 회의를 속개해 ‘2017년도 제1회 제주특별자치도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등에 대한 통합 심사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고정식 의원(바른정당, 일도2동 갑)은 “이번 추경에 편성된 제주관광공사 운영비 20억원 중 인건비가 19억원이다. 이렇게 많은 예산이 올라온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제주관광공사 면세점 인건비 지원 문제를 도마에 올렸다.
이에 이승찬 제주도관광국장은 “최근 면세점 사업 매출이 대폭 감소했고, 성산항 면세점 시설에 대한 투자 등으로 수익이 악화돼 부득이하게 예산을 편성했다”고 해명하자 고 의원이 발끈했다.
고 의원은 “사드(보복) 때문에 중국 관광객이 줄었다고는 애초 면세점 영업 자체가 처음부터 잘못된 구상 이었다”면서 “이런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생각으로 탄력적으로 준비했어야 했는데, 돈이 모자라니까 제주도에 손을 벌리는 주먹구구식 경영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좌남수 의원(더불어민주당, 한경‧추자면)도 “관광공사 직원들의 월급을 도에서 준다는 게 말이 되는 소리냐”며 “중국 관광객을 의식해서 관광공사를 만든 줄 아느냐. 제주 관광 활성화를 위해 만들었으면 자생력도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경학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구좌읍·우도면)도 “관광공사는 중국 시장의 경제와 안보 리스크에 대한 대응을 잘해야 하고 손실을 최소화하려는 노력도 중요하다”면서 “손실이 났다고 해서 무조건 재정으로 메워주면 도민들이 이해할 수 있겠느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대해 이승찬 국장은 “당초 계획은 인건비가 81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했지만,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 이후 매출 급감으로 59억원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됐다”면서 “이에 따라 관광공사 내부적으로도 인건비 6억원과 경상비 32억을 추가로 절감했지만 그래도 20억 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번 추경에 요청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